학술논문
한국어 어휘 의미 교육 등급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
이용수 31
- 영문명
- A study on educational gradation of Korean vocabulary meaning: with focus on verb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유경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7호, 111~13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0.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educational gradation of Korean vocabulary meaning particularly for L2 learners. The study focuses on the polysemous verbs with the features related to the semantic expansion based on the L2 learners’ intellectual abilities, thereby presents a need to set the standards for educational gradation of Korean vocabulary meaning. The result has a great significance for the Korean vocabulary education on the basis of L2 learners’ abilities. The meanings of each polysemy are presented based on the frequency of meaning dictionary and the corpus data is also employed for the purpose of the analysis on the semantic expansion.
목차
1. 들어가며
2. 선행 연구
3. 어휘의 의미 확장상의 특징과 의미 교육
4. 의미 빈도의 특성과 의미 교육
5. 결론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교육의 대조 연구 동향 분석
- 한국어 어휘 평가의 현황과 전망
- 외국인 유학생의 텍스트 기반 구두 발표 연구
-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 “Should I Learn Korean?” A Multiple Case Study of Learning Korean as Heritage Language
- 한국어 교사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 언어 연구
- 한국어교육 평가 연구
- 한국어 어휘 의미 교육 등급 선정을 위한 기초 연구
- 한국어 교사, 학습자 관련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다문화 사회와 한국어 교육
- 재외동포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의 현황과 과제
- 한국어 교재 및 교육 자료 연구 동향 분석
- 담화 및 화용과 한국어 교육 연구
- 한국어 표현 교육 연구
-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업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한 표현 교육 방안
- 인터뷰 면접자 담화에 나타난 ‘상호작용 활성화’ 발화 연구
- 한국어문법교육방법론의 연구 동향 및 과제
- 한국문화 및 한국문학 교육 연구
-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방법론 동향 분석
- 한국어 교육과정 연구 성과와 향후 과제 연구
- 입출력 강화를 통한 한국어 듣기 교육 방안 연구
- 제 2언어 교실에서의 질문 분류 방식과 기능에 대한 재고 1
- 한국어 이해 교육의 연구 경향 분석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비음화 발음 오류 양상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