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공계열 학습자들의 학업 수행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 조사
이용수 3
- 영문명
- The Perception of Academic Difficulties of Tertiary Stud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정미혜 박동호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9호, 321~34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Needs analysis is regarded as a point of departure when designing a language program especially for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One of the most vital steps in needs analysis for KAP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learners’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to meet their academic requirements in the target discipline. In this respect, this study surveyed 70 foreign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xamined their overall difficulties they experience studying in their major field and their specific difficulties regarding 12 oral skills as well as 13 academic literacy skills. The results show that the basic knowledge on mathematics and science learned in their native languag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s on their current subject study. Secondly, majority of the stud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experience significant language difficulties carrying out their academic career, especially in speaking and writing skills. Lastly, the findings showed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difficulties in 4 language skills according to their medium language for communication and class standing. In addition, the study raises implications that academic purpose curriculum for the stud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before university enrollment need to be designed focusing on foundation subjects in their major fiel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및 절차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 능력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기 만들기 담화 구성 연구
-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담화통합 쓰기 양상
- 외국인 학습자 개별 학습을 위한 한국어 어휘의미망 사전 개발 방안
- 스페인어 담화 관련 정보 구조에 대한 구조적 교육의 필요성
- Discourse Marker kunyang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 다문화 사회의 의사소통을 위한 문학의 역할
- 19세기 말의 한국어 학습서 연구
- 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과 인지ㆍ심리적 제약
- UCC 제작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방안
- 미 국무성 주관 National Security Language Initiative for Youth 프로그램 연구
- 이공계열 학습자들의 학업 수행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 조사
- 반의관계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오류 분석
- 학술 텍스트에 나타난 한국어 헤지 표현 선정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