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반의관계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이용수 25
- 영문명
- A Study on Korean Teaching Methods Using Antonymy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민우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9호, 219~24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uggest Korean teaching methods using antonymy. To attain the goal, this paper examines how antonymy is used in existing Korean textbooks beforehand and then suggests a teaching method to provide the list of antonyms along with their semantic functions and sentence patterns using them. Existing Korean textbooks use antonyms in three aspects: providing word pairs, providing antonymic pairs for the target sentence pattern, and using antonymy with examples. However, antonymy has not been used actively and systematically compared with the easiness of its recognition and their importance of use. This study insists that in order to use antonymy variously and systematically, not only to provide and teach antonyms but also to suggest their semantic functions in sentences and sentence patterns showing typical antonymic construction are needed so that the learners can acquire the semantic functions which antonymy constructs. Moreover, it emphasizes that it is needed to suggest the list of antonymic words and show the antonymy of related words in the textbook within the semantic field of the identical sequence. With this method, Korean learners not only can acquire antonymic words but can acquire the ways to use them properly as well. Through follow-up researches on the semantic functions of sequential relationships such as antonymy and also synonymy and hypernymy, it is expected to suggest various methods to enhance Korean learners’ ability to use Korean.
목차
1. 서론
2. 초급 교재의 반의관계 교육 내용 검토
3. 반의관계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 능력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기 만들기 담화 구성 연구
-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담화통합 쓰기 양상
- 외국인 학습자 개별 학습을 위한 한국어 어휘의미망 사전 개발 방안
- 스페인어 담화 관련 정보 구조에 대한 구조적 교육의 필요성
- Discourse Marker kunyang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 다문화 사회의 의사소통을 위한 문학의 역할
- 19세기 말의 한국어 학습서 연구
- 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과 인지ㆍ심리적 제약
- UCC 제작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방안
- 미 국무성 주관 National Security Language Initiative for Youth 프로그램 연구
- 이공계열 학습자들의 학업 수행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 조사
- 반의관계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오류 분석
- 학술 텍스트에 나타난 한국어 헤지 표현 선정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