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기 만들기 담화 구성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Story-making Discourse Construction by Korean Language Learner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손희연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9호, 163~19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make a microscopic description of the way Korean language learners make contents to construct one consistent story discourse following given task conditions and formalize the contents into target language discourse by focusing on the Chinese learners’ verbal utterance induced by a story-making task. Given the task condition in which only partial information is available in image which constructs the story contents, learners should understand individual image contents and utter them into target language. Moreover, they should organize such utterances in discourse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into consistent contents. As such discourse construction is realized in the frame of discourse formation and contents creation restricted by task condition, it is noticeable that it can show an aspect of variation in learner’s language which takes specific task condition as a variable. In this light, the present study aims to observe how the conditions involved in designing and executing the story-making tasks get interpreted by learners to form the basis of oral production, and define the components that make the learner’s style of oral production which are unique to the story-making task. It is seen that learners interpret the story-making task as ‘a task of speaking the content of the story in a consistent and complete form in defined conditions’. Therefore, the inference on background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tent structure and the cohesive connection of short sentences based on conjunctive adverb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croscopic discourse structure turn out to be principal components that constitute the style of production in a story-making task.
목차
1. 서론
2.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
3. 분석 자료
4. 이야기 만들기 과제 담화의 구성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 능력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기 만들기 담화 구성 연구
-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담화통합 쓰기 양상
- 외국인 학습자 개별 학습을 위한 한국어 어휘의미망 사전 개발 방안
- 스페인어 담화 관련 정보 구조에 대한 구조적 교육의 필요성
- Discourse Marker kunyang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 다문화 사회의 의사소통을 위한 문학의 역할
- 19세기 말의 한국어 학습서 연구
- 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과 인지ㆍ심리적 제약
- UCC 제작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방안
- 미 국무성 주관 National Security Language Initiative for Youth 프로그램 연구
- 이공계열 학습자들의 학업 수행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 조사
- 반의관계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오류 분석
- 학술 텍스트에 나타난 한국어 헤지 표현 선정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