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술 텍스트에 나타난 한국어 헤지 표현 선정 연구
이용수 36
- 영문명
- A Study on teaching Korean Hedging Expression for KAP Learners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준호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49호, 269~29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conceptualize instructional content for teaching Korean hedging expressions for Korean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s. Hedging is widely known as the expression that writers or speakers to deliver their attitude of tentativeness and possibility towards to the statements they make. According to Hyland(1995), Hedging expressions present unproven claims with caution and softening categorical assertions and they are crucial to scientific writing where statements are rarely made without subjective assessments of truth. In the field of ESL, hedging is one of the most attention-receiving research topics for ESP learners and the various lists of English hedging expression as instructional contents for those learners has been established. However,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or second language, Hedge is a area that is rarely discussed yet. Considering the expanding number of KAP learners, it is important to conceptualize Korean hedging expression as teaching content and to identify what expressions to teach. This article, therefor, will examine Korean scientific journals so as to discover what linguistic items perform a hedging role and analyze the items upon their linguistic features. I will, thereby, suggest a list of Korean hedging expression that needs to be included in instructional content for KAP learners.
목차
1. 서론
2. 헤지에 대한 이론 및 선행 연구 고찰
3. 외국인 학습자의 헤지 표현 인식 조사
4. 한국어교육용 학술적 헤지 표현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수행 능력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기 만들기 담화 구성 연구
- 고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담화통합 쓰기 양상
- 외국인 학습자 개별 학습을 위한 한국어 어휘의미망 사전 개발 방안
- 스페인어 담화 관련 정보 구조에 대한 구조적 교육의 필요성
- Discourse Marker kunyang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 다문화 사회의 의사소통을 위한 문학의 역할
- 19세기 말의 한국어 학습서 연구
- 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습득과 인지ㆍ심리적 제약
- UCC 제작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방안
- 미 국무성 주관 National Security Language Initiative for Youth 프로그램 연구
- 이공계열 학습자들의 학업 수행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 조사
- 반의관계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오류 분석
- 학술 텍스트에 나타난 한국어 헤지 표현 선정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