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rratum] 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 예측 모형 개발연구
이용수 85
- 영문명
- [Erratum] Development of a predictive model for university students’ core competency index using machine learning: Focusing on D Univers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승형(Seung-hyeong Lee) 백은주(Eun-Ju Bae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1호, 831~84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15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 교육의 대표적인 교육성과지표인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예측하여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분석 대상은 부산권 소재 D대학교 재학생의 지난 3년간(2019년~2021년)의 핵심역량진단조사(D-CODA) 결과 패널 데이터이며, 핵심역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머신러닝 예측모형인 다중선형회귀분석(LR), 랜덤포레스트(RF), 서포트벡터머신(SVM)을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각 핵심역량의 최적 예측 모형은 다음과 같다. 전문성역량은 RF(랜덤포레스트)모형으로 나타났으며 인성역량은 SVM(서포트 백터머신)으로, 창의역량은 RF(랜덤포레스트)모형으로 나타났다. 도전역량과 글로컬역량은 SVM(서포트 백터머신)모형이, 소통역량은 LR(다중선형회귀분석) 모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머신러닝 학습을 통한 각 핵심역량 예측에 영향력이 높은 역량을 분석한 결과, 전문성 역량 예측에는 전문성역량이, 인성역량 예측이 있어서는 인성역량과 소통역량이 함께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역량을 예측하는데 창의역량지표와 전문성역량지표로 나타났다. 이는 창의역량을 예측하는 데 있어 창의성 뿐만 아니라 전문성 역량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다. 도전역량에 가장 높은 기여도를 보인 것은 도전역량지표로 나타났으며. 글로컬역량을 예측하는 데 있어 글로컬역량지표가 가장 높은 기여도를 보였으며, 소통역량을 예측하는데 가장 영향을 높게 미친 것은 소통역량지표와 인성역량지표로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핵심역량 지표를 예측하기 위한 모형 분석에서 최적의 예측모형은 가장 오차가 적은 RF(랜덤포레스트)모형으로 나타났다. 넷째, 2022년 핵심역량지표 예측에서 전문성, 인성, 창의성, 도전 역량은 2021년 대비 향상될 것으로 예측되었고, 글로컬 및 소통역량은 2021년도와 같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예측된 역량의 성별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축적된 핵심역량 데이터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분석이 대학생의 핵심역량을 예측하고 분별하는 데 유용함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차원에서의 주기적인 핵심역량 지표 관리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교과 및 비교과 과정에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설계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by predicting the core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panel data of the D-CODA result panel data for the past 3 years (2019-2021) of D-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the Busan area were analyzed. Machine learning prediction models such a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LR), random forest (RF), and support vector machine (SVM), were used to predict core competencies.
Results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study. First, the optimal prediction model for each core competency is as follows. Professional competency was shown in the RF (random forest) model, personality competency in SVM (support vector machine), creative competency in the RF (random forest) model, challenge competency and glocal (global and local) competency in the SVM (support vector machine) model,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in the LR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model. Second, in the analysis of competencies,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 competency contributes to the prediction of professional competency, and both personality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to that of personality competency. Third, in the model analysis to predict the overall core competency index, the optimal predictive model was found to be the RF (random forest) model which showed the least error. Fourth, in the prediction of key competency indicators in 2022, it is predicted that expertise, personality, creativity, and challenging competency will improve.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analysis using accumulated core competency data and machine learning is useful in predicting and discriminating the core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periodic core competency index management at the university level and provides the basis for designing a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1호
-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 한글 문해 앱(App) 제작에 기반한 스마트폰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가능성 탐색
- Early childhood teacher certification in major countries: criteria and curriculum
- 역량중심 교양교육 실현을 위한 CQI 적용 및 성과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기 부모애착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진로개발역량 잠재전이유형과 관련 변인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적응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The Effectiveness of Experiential Hygiene Education on the Attitudes Toward and Practice of Personal Hygiene Among th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코로나 19 장기화에 따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가정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 현직 유아교사의 ‘유아 원격교육에서의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 The Impact of Korean University Restructuring on the Employment of NESTs and NNESTs
- 직무역량 기반 블라인드 이력서 작성을 위한 모바일 인터페이스 설계
-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적극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
- 종양전문간호사의 노인 암환자 케어 코디네이션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 토픽모델링을 통한 우수 원격수업 특성 및 요소 연구
- 중⋅고등학생용 학생주도성 측정 도구 개발
- 읽기부진 학생을 위한 ‘개에게 책 읽기 프로그램’의 교육적 개입 모형 탐색
- 부모의 결혼만족도,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
- 글쓰기 교육에 참여한 지구과학교육 전공 교사들의 SSI 교수에 대한 인식 및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 구조 분석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1학년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플로리싱 관계에서 인지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 과학 개념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 중급상담자의 의미 있는 관계 경험과 개인적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사역량이 유아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 경험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학년 통합 체육수업 경험과 교육적 의미
-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이해
- 전문연주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공연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 분야 국내 내러티브 탐구 동향분석(2000~2021)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 참여도 및 전공 만족도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부모의 비일관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행복감의 관계에서 주의집중과 그릿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영향요인 탐색
- 대구⋅경북권 초⋅중등학교 현직교사의 융합수업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조사 연구
- 임상수행능력 강화를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병합 간호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대학 온라인 팀 학습에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일치유형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헌혈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적성의 매개효과
- 여고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성인의 인정욕구와 사회불안의 관계
-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진로 결정수준 간의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 유아교육 전공 교과 수업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하는 교수의 경험
- COVID-19로 인해 전환된 화상상담의 내담자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의견 분석과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에서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을 지원하는 시각화 도구 및 학습성과 분석
- 대학생의 정신건강, 디지털 사회자본, 디지털 리터러시, 스마트폰 의존도, 학습몰입과의 구조적 관계
- 한 중년전환기 직장인의 장기근속 후 이직 결정 경험 연구
- 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 예측 모형 개발연구
- 고등학생들의 주제 탐구 논술에서 논증 형식 변화 분석
- 국내 상담학 분야의 현상학적 연구 동향 분석(2010~2020)
-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 학업소진, 사회적지지 다중매개 분석
-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Anthropocene) 위기의 심화와 대응방안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 학생 수요 기반 교양교육 개선 방안 연구
- [Erratum]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의견 분석과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 [Erratum] 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 예측 모형 개발연구
- 학습자 주도 질문 활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탐구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초등학교 취학 후 학업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게임 캐릭터 감정이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