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적응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578
- 영문명
- Research Trend Analysis on School Adaptation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 on the Publication of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 2009 to 2020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1호, 233~24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15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는 한국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적응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해당 분야 연구의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 2009년~2020년 사이 국내 학술지에서 발행된 논문 중 분석 대상 수집 절차 1단계~3단계에 따라 82편을 선정하였다. 분석 기준은 여섯 가지로 다문화교육 관련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설정하였다. 사용된 연구 도구는 기술 통계 분석과 시각화 자료 생성이 용이한 EXCEL이다.
결과 첫째, 양적 변화 동향이다. 초기 구간(2009년~2013년)에 속하는 2009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중기 구간(2014년~2016년)인 2014년부터는 정책 변화와 더불어 감소하였다. 후기 구간(2017년~2020년)에 들어서 다시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 목적 동향이다. 실태 분석과 개선 방안, 이론 및 프로그램 적용 등 실증 연구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연구 주제 동향이다. 교육적 측면 연구가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넷째, 연구 대상 동향이다. 다문화가정 학생을 단독 연구 대상으로 설정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했다. 미취학 다문화가정 아동, 부모, 교사 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진행도는 낮은 수준에 있었다. 다섯째, 학교급 동향이다. 초등학교급 연구가 집중적으로 실시되었다. 여섯째, 연구 방법 동향이다. 양적 연구 방법이 사용된 연구가 주로 발견되었다.
결론 첫째,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적응 관련 연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후기 구간(2017년~2020년) 연구물은 낮은 수준이다. 연구 활성화를 위한 해당 분야 학계 연구자의 노력을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연구 목적과 연구 주제 설정이 기존보다 다양화될 필요가 있고, 교육적 측면을 다루는 연구 촉진이 요구된다. 셋째, 연구 대상이 폭넓게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초등학교급에 비해 미약한 현황에 있는 유아⋅중등학교(중학교, 고등학교)급 연구 확대를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추후 연구 방법을 골고루 사용하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 suggest the direction for reseach of the multicultural students' school adaptation-related research in line with the trends of changes in Korean society, which is enter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Methods Among the papers published between 2009 and 2020, 82 pap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rough the first to third stages of the collection procedure. Analysis criteria were establish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earch tool used is EXCEL, which facilitat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visualization data creation.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ntitative change trend,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increased rapidly from 2009. From 2014, which belongs to the mid-term period, it decreased along with the policy change. It increased again in the late perio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purpose trend, empirical studies such as actual condition analysis, improvement measures and application of theory and programs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topic tre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al aspect research was insufficient.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 majority of studies were conducted exclusively on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research progress on preschool multicultural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were at a low level.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hool level, elementary school level research was intensively conducted. Six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method trend, a number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confirmed.
Conclusions First, although the importance of studies related to school adaptation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emphasized, the research in the late period is low and no change is found. Therefore,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necessity of revitalizing research. Second, research objectives and research topics need to be more diversified than before and research that deals with educational aspects are required. Third, there is a need to set a wide range of research subjects. Fourth, research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which is weak compared to the elementary school level, should be expanded. Fifth, a wide range of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using research methods evenly.
목차
Ⅰ. 서론
Ⅱ. 다문화교육 정책 동향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1호
-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 한글 문해 앱(App) 제작에 기반한 스마트폰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가능성 탐색
- Early childhood teacher certification in major countries: criteria and curriculum
- 역량중심 교양교육 실현을 위한 CQI 적용 및 성과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기 부모애착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진로개발역량 잠재전이유형과 관련 변인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적응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The Effectiveness of Experiential Hygiene Education on the Attitudes Toward and Practice of Personal Hygiene Among th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코로나 19 장기화에 따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가정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 현직 유아교사의 ‘유아 원격교육에서의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 The Impact of Korean University Restructuring on the Employment of NESTs and NNESTs
- 직무역량 기반 블라인드 이력서 작성을 위한 모바일 인터페이스 설계
-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적극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
- 종양전문간호사의 노인 암환자 케어 코디네이션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 토픽모델링을 통한 우수 원격수업 특성 및 요소 연구
- 중⋅고등학생용 학생주도성 측정 도구 개발
- 읽기부진 학생을 위한 ‘개에게 책 읽기 프로그램’의 교육적 개입 모형 탐색
- 부모의 결혼만족도,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
- 글쓰기 교육에 참여한 지구과학교육 전공 교사들의 SSI 교수에 대한 인식 및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 구조 분석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1학년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플로리싱 관계에서 인지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 과학 개념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 중급상담자의 의미 있는 관계 경험과 개인적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사역량이 유아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 경험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학년 통합 체육수업 경험과 교육적 의미
-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이해
- 전문연주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공연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 분야 국내 내러티브 탐구 동향분석(2000~2021)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 참여도 및 전공 만족도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부모의 비일관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행복감의 관계에서 주의집중과 그릿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영향요인 탐색
- 대구⋅경북권 초⋅중등학교 현직교사의 융합수업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조사 연구
- 임상수행능력 강화를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병합 간호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대학 온라인 팀 학습에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일치유형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헌혈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적성의 매개효과
- 여고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성인의 인정욕구와 사회불안의 관계
-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진로 결정수준 간의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 유아교육 전공 교과 수업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하는 교수의 경험
- COVID-19로 인해 전환된 화상상담의 내담자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의견 분석과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에서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을 지원하는 시각화 도구 및 학습성과 분석
- 대학생의 정신건강, 디지털 사회자본, 디지털 리터러시, 스마트폰 의존도, 학습몰입과의 구조적 관계
- 한 중년전환기 직장인의 장기근속 후 이직 결정 경험 연구
- 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 예측 모형 개발연구
- 고등학생들의 주제 탐구 논술에서 논증 형식 변화 분석
- 국내 상담학 분야의 현상학적 연구 동향 분석(2010~2020)
-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 학업소진, 사회적지지 다중매개 분석
-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Anthropocene) 위기의 심화와 대응방안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 학생 수요 기반 교양교육 개선 방안 연구
- [Erratum]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의견 분석과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 [Erratum] 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 예측 모형 개발연구
- 학습자 주도 질문 활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탐구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초등학교 취학 후 학업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게임 캐릭터 감정이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