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학년 통합 체육수업 경험과 교육적 의미
이용수 338
- 영문명
- A Teacher’s Experiences with Integrated PE Lessons for Different Grades and the Teacher’s Educational Meanings at a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1호, 571~59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15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학년 통합 체육수업 경험과 그 교육적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2020년 9월부터 2021년 1월까지 학년 통합 체육수업에 참여한 3학년 담임교사인 연구자와 4학년 담임교사, 3, 4학년 학생 15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기억 회상, 심층 면담, 문서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 절차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자료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각도 분석법, 구성원 간 검토, 동료 간 협의를 실시하였다.
결과 학년 통합 체육수업에 참여한 교사의 경험은 미지를 항해하는 선장의 이야기로 구성하였는데 첫째, 학년 통합 체육수업에 필요한 마땅한 자료가 없어 방향을 잡지 못하고 헤매는 수업 준비 단계인 ‘해도가 없는 항해를 준비하며’, 둘째, 수업 진행 초반에 겪은 어려움을 다룬 단계인 ‘출항하자마자 암초를 만나다’, 셋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교사의 노력을 다룬 단계인 ‘조타를 바로잡고 돛을 세워라’, 넷째, 수업의 안정화 단계인 ‘순항의 길로 들어서다’로 정리되었다. 교육적 의미는 ‘수업의 확장: 바다를 탐험하며 확장된 해역’, ‘학생의 변화: 미지의 항해가 불러온 선원의 변화’, ‘교사의 성장: 파도를 헤치며 이뤄진 선장의 성장’이라는 세 가지로 도출되었다.
결론 소규모 초등학교에서의 학년 통합 체육수업은 교사나 학생, 수업 자체에 있어서도 교육적 의미가 크므로 교사 개인의 노력과 함께 정책적인 뒷받침이 중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teacher's experiences with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PE) lessons for different grades at a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in autoethnography and the teacher’s educational meanings.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memory retrieval, in-depth interviews, and concerned documents of seven third graders, eight fourth graders, the investigator that was in charge in a third grade class and gave integrated PE lessons for different grades, and Kim Sae-ssak in charge of a fourth grade class at Tamheom Elementary School in Miji-gun, C Province during a semester from September, 2020 to January, 2021 to examine the teacher's experiences with integrated PE lessons for different grades and the teacher's educational meaning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a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 based on practical eclecticism, and research integrity was secured through multi-sided analysis, inter-member review, and peer consultation.
Results The teacher's experiences with integrated PE lessons for different grades were compared to a captain's story exploring an unknown territory. The teacher's experiences were categorized into “preparing for a voyage without a chart,” “striking on a rock upon departure,” “setting up a sail with steering adjusted” and “entering a cruise route.”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 teacher's experiences with integrated PE lessons for different grades were compared to a treasure hunt in a ship's log. The educational meanings were categorized into “expansion of lessons: expanded waters through marine explorations” in that the scope of lessons was expanded, “students' changes: changes to the sailors through an unknown voyage” in that changes were brought to students, and “a teacher's growth: the captain's growth amid waves” in that teacher made growth.
Conclusions Since different grade-integrated PE lessons in small elementary schools have great educational significance for teachers, students, and the class itself, individual efforts and policy support are importa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1호
-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 한글 문해 앱(App) 제작에 기반한 스마트폰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가능성 탐색
- Early childhood teacher certification in major countries: criteria and curriculum
- 역량중심 교양교육 실현을 위한 CQI 적용 및 성과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기 부모애착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진로개발역량 잠재전이유형과 관련 변인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적응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The Effectiveness of Experiential Hygiene Education on the Attitudes Toward and Practice of Personal Hygiene Among th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코로나 19 장기화에 따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가정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 현직 유아교사의 ‘유아 원격교육에서의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 The Impact of Korean University Restructuring on the Employment of NESTs and NNESTs
- 직무역량 기반 블라인드 이력서 작성을 위한 모바일 인터페이스 설계
-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적극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
- 종양전문간호사의 노인 암환자 케어 코디네이션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 토픽모델링을 통한 우수 원격수업 특성 및 요소 연구
- 중⋅고등학생용 학생주도성 측정 도구 개발
- 읽기부진 학생을 위한 ‘개에게 책 읽기 프로그램’의 교육적 개입 모형 탐색
- 부모의 결혼만족도,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
- 글쓰기 교육에 참여한 지구과학교육 전공 교사들의 SSI 교수에 대한 인식 및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 구조 분석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1학년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플로리싱 관계에서 인지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 과학 개념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 중급상담자의 의미 있는 관계 경험과 개인적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사역량이 유아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 경험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학년 통합 체육수업 경험과 교육적 의미
-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이해
- 전문연주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공연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 분야 국내 내러티브 탐구 동향분석(2000~2021)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 참여도 및 전공 만족도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부모의 비일관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행복감의 관계에서 주의집중과 그릿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영향요인 탐색
- 대구⋅경북권 초⋅중등학교 현직교사의 융합수업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조사 연구
- 임상수행능력 강화를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병합 간호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대학 온라인 팀 학습에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일치유형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헌혈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적성의 매개효과
- 여고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성인의 인정욕구와 사회불안의 관계
-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진로 결정수준 간의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 유아교육 전공 교과 수업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하는 교수의 경험
- COVID-19로 인해 전환된 화상상담의 내담자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의견 분석과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에서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을 지원하는 시각화 도구 및 학습성과 분석
- 대학생의 정신건강, 디지털 사회자본, 디지털 리터러시, 스마트폰 의존도, 학습몰입과의 구조적 관계
- 한 중년전환기 직장인의 장기근속 후 이직 결정 경험 연구
- 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 예측 모형 개발연구
- 고등학생들의 주제 탐구 논술에서 논증 형식 변화 분석
- 국내 상담학 분야의 현상학적 연구 동향 분석(2010~2020)
-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 학업소진, 사회적지지 다중매개 분석
-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Anthropocene) 위기의 심화와 대응방안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 학생 수요 기반 교양교육 개선 방안 연구
- [Erratum]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의견 분석과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 [Erratum] 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 예측 모형 개발연구
- 학습자 주도 질문 활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탐구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초등학교 취학 후 학업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게임 캐릭터 감정이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