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자 주도 질문 활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탐구
이용수 457
- 영문명
- An Exploration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n a Learner-led Questioning Activity: based on General English Class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1호, 475~48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15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대학 영어 수업에서 학생 주도 질문 생성 과제를 수행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연구 참여자 의도적 표집을 통해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하는 약 120명 중에서 8명의 대학생을 선정하였고, 심층면접으로 자료수집 및 자료 분석을 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4개의 주제 모음이 도출되었다. 학습 습관의 질적 변화, 학습 능력의 향상, 비대면 수업의 한계 극복, 미숙에서 성숙으로 나아감이다. 구체적으로 주제로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평소보다 강의에 집중하고, 스스로 다양한 학습활동을 하게 되었다는 하였다. 둘째, 그들은 부족한 부분을 알고 보완하게 되었고, 기억력 향상과 지식 확장에도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다. 셋째, 비대면 수업임에도 상호작용이 원활하였고, 수업에 적극적인 참여가 가능하였다고 하였다. 넷째, 질문이 익숙하지 않음으로 인한 질문의 질이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발전이 있었다고 하였다.
결론 연구를 통해 학습자 주도 질문활동은 대학생들에게 수업에 대한 의지를 형성하는 효과와 질문이 빈번하게 노출되면서 장기기억에 저장되고, 지식이 이전보다 확장되는 경험, 학업 수행의 촉진하는 방법의 경험 등을 인식하였다. 또한 대학생들은 질문 활동 중 질문의 생성과정에 대한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교수자와 학습자는 질문생성에 주목하여 인내를 가지고 좋은 질문을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상호 조력하는 과정에서 질문생성이 익숙해짐에 따라 점점 질문의 질이 향상되기도 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학습자 주도의 질문 활동이 구성주의 교육 실천에 이바지할 것이고 교수자들은 학습자들의 학습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교실에서 좀 더 많은 질문을 하도록 용기를 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college students' experience on the leaner-led questioning activity performed in general English classes.
Methods Purposeful sampling which is a technique widely used to a qualitative research was us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data collection. And a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The essential theme clusters were derived, that is, qualitative change in learning habits, improvement of learning abilit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classes, and transformation from immaturity to maturity. And the contents of the main theme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focused on lectures more than usual and engaged in various learning activities on their own. Second, they were able to recognized and supplement the shortcomings and their led questioning activity helped them to improve their knowledge retention and to expand their knowledge. Third, they perceived that there are activ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and they became more and more active learners. Fourth, they could further develop their question quality by trial and error.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learner-led questioning activity helped students to have high willingness to their learning and to improve their long-term knowledge retention as well as to expand their knowledge and to increase their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Although participants had difficulty on generating their own questions, their level of question quality was higher and higher for teachers to teach students to create their own questions. Consequently, this study shows that learner led questioning activity contribute to teachers' practice of Constructivist education and teachers need to encourage students to ask more questions maximizing their learning in the classroo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절차 및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1호
-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 한글 문해 앱(App) 제작에 기반한 스마트폰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가능성 탐색
- Early childhood teacher certification in major countries: criteria and curriculum
- 역량중심 교양교육 실현을 위한 CQI 적용 및 성과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기 부모애착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진로개발역량 잠재전이유형과 관련 변인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적응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The Effectiveness of Experiential Hygiene Education on the Attitudes Toward and Practice of Personal Hygiene Among th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코로나 19 장기화에 따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가정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 현직 유아교사의 ‘유아 원격교육에서의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 The Impact of Korean University Restructuring on the Employment of NESTs and NNESTs
- 직무역량 기반 블라인드 이력서 작성을 위한 모바일 인터페이스 설계
-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적극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
- 종양전문간호사의 노인 암환자 케어 코디네이션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 토픽모델링을 통한 우수 원격수업 특성 및 요소 연구
- 중⋅고등학생용 학생주도성 측정 도구 개발
- 읽기부진 학생을 위한 ‘개에게 책 읽기 프로그램’의 교육적 개입 모형 탐색
- 부모의 결혼만족도,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
- 글쓰기 교육에 참여한 지구과학교육 전공 교사들의 SSI 교수에 대한 인식 및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 구조 분석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1학년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플로리싱 관계에서 인지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 과학 개념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 중급상담자의 의미 있는 관계 경험과 개인적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사역량이 유아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 경험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학년 통합 체육수업 경험과 교육적 의미
-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이해
- 전문연주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공연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 분야 국내 내러티브 탐구 동향분석(2000~2021)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 참여도 및 전공 만족도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부모의 비일관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행복감의 관계에서 주의집중과 그릿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영향요인 탐색
- 대구⋅경북권 초⋅중등학교 현직교사의 융합수업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조사 연구
- 임상수행능력 강화를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병합 간호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대학 온라인 팀 학습에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일치유형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헌혈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적성의 매개효과
- 여고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성인의 인정욕구와 사회불안의 관계
-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진로 결정수준 간의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 유아교육 전공 교과 수업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하는 교수의 경험
- COVID-19로 인해 전환된 화상상담의 내담자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의견 분석과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에서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을 지원하는 시각화 도구 및 학습성과 분석
- 대학생의 정신건강, 디지털 사회자본, 디지털 리터러시, 스마트폰 의존도, 학습몰입과의 구조적 관계
- 한 중년전환기 직장인의 장기근속 후 이직 결정 경험 연구
- 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 예측 모형 개발연구
- 고등학생들의 주제 탐구 논술에서 논증 형식 변화 분석
- 국내 상담학 분야의 현상학적 연구 동향 분석(2010~2020)
-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 학업소진, 사회적지지 다중매개 분석
-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Anthropocene) 위기의 심화와 대응방안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 학생 수요 기반 교양교육 개선 방안 연구
- [Erratum]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의견 분석과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 [Erratum] 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 예측 모형 개발연구
- 학습자 주도 질문 활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탐구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초등학교 취학 후 학업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게임 캐릭터 감정이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