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상담학 분야의 현상학적 연구 동향 분석(2010~2020)
이용수 734
- 영문명
- Analysis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domestic Counseling (2010-2020):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1호, 173~18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15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상담학 관련 국내 학술지인 ‘상담학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에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논문 중 현상학적 연구의 동향 분석이다.
방법 국내 상담학연구,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63을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김지연(2018), 주인석 외(2021), 양흥식과 김현주(2020)의 분류 범주를 참고하여, 기초사항,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참여자 수, 자료수집방법, 심층면접 기간 및 회기, 연구접근, 연구의 타당도, 연구 윤리로 9개 분류범주의 틀로 분석하였다.
결과 63편 논문의 연구주제는 상담자, 내담자⋅성격특성 및 정서 등으로 나타났고, 연구대상은 성인 25편(39.7%), 상담자 19편(30.2%), 내담자 등으로 나타났다. 참여자 수는 7~9명이 33편(52.4%), 10~12명이 10편(15.9%), 1~6명이 10편(15.9%) 순으로 나타났다. 자료수집방법으로 심층면접이 49편(77.8%)으로 가장 높았다. 심층면접 시간 및 회기는 2회기 면접 상담으로 시간은 90분에서 150분 이상이 32편(50.8%)를 차지하였다. 연구접근은 Giorgi의 연구접근이 28편(44.5%)으로 가장 높았다. 연구의 타당도는 Lincoln & Guba의 타당도 제고 전략을 활용한 논문이 41편(65.1%)으로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연구 윤리에서 생명윤리위원회(IRB)승인을 받은 논문 8편, 연구자 윤리교육 이수를 기술한 논문이 1편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용과 구조내용 분석으로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창조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논의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in phenomenological research among papers published in 2010-2020 in two domestic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counseling—‘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Methods We analyzed 63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Referring to the classification categories of research papers proposed by Kim (2018), Joo et al. (2021), and Yang & Kim (2020), the papers were classified into 9 categories—basic matters, research topics, research participants, number of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methods, in-depth interview period and sessions, research approach, validity in research, and research ethics—and analyzed.
Results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comprised 63 topic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emotions were found, with 25 adults (39.7%), 19 counselors (30.2%), and clients as subjects. Further, 33 (52.4%), 10 (15.9%), and 10 episodes (15.9%) were performed by 7-9, 10-12, and 1-6 participants, respectively. In-depth interview was the highest data collection method with 49 papers (77.8%); In-depth interview time and session were second. The interview duration was approximately 90-150 minutes in 32 (50.8%) consultations. Giorgi's research approach was the highest with 28 articles (44.5%). Lincoln & Guba's validity enhancement strategy was the highest with 41 papers (65.1%). Finally, eight papers approved by the Bioethics Committee (IRB) in research ethics and one describing researcher ethics education appeared.
Conclusions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creative development of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rough content and structural content analysi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1호
-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 한글 문해 앱(App) 제작에 기반한 스마트폰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가능성 탐색
- Early childhood teacher certification in major countries: criteria and curriculum
- 역량중심 교양교육 실현을 위한 CQI 적용 및 성과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기 부모애착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진로개발역량 잠재전이유형과 관련 변인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적응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The Effectiveness of Experiential Hygiene Education on the Attitudes Toward and Practice of Personal Hygiene Among th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코로나 19 장기화에 따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가정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 현직 유아교사의 ‘유아 원격교육에서의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 The Impact of Korean University Restructuring on the Employment of NESTs and NNESTs
- 직무역량 기반 블라인드 이력서 작성을 위한 모바일 인터페이스 설계
-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적극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
- 종양전문간호사의 노인 암환자 케어 코디네이션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 토픽모델링을 통한 우수 원격수업 특성 및 요소 연구
- 중⋅고등학생용 학생주도성 측정 도구 개발
- 읽기부진 학생을 위한 ‘개에게 책 읽기 프로그램’의 교육적 개입 모형 탐색
- 부모의 결혼만족도,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
- 글쓰기 교육에 참여한 지구과학교육 전공 교사들의 SSI 교수에 대한 인식 및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 구조 분석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1학년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플로리싱 관계에서 인지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 과학 개념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 중급상담자의 의미 있는 관계 경험과 개인적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사역량이 유아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 경험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학년 통합 체육수업 경험과 교육적 의미
-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이해
- 전문연주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공연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 분야 국내 내러티브 탐구 동향분석(2000~2021)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 참여도 및 전공 만족도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부모의 비일관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행복감의 관계에서 주의집중과 그릿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영향요인 탐색
- 대구⋅경북권 초⋅중등학교 현직교사의 융합수업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조사 연구
- 임상수행능력 강화를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병합 간호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대학 온라인 팀 학습에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일치유형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헌혈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적성의 매개효과
- 여고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성인의 인정욕구와 사회불안의 관계
-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진로 결정수준 간의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 유아교육 전공 교과 수업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하는 교수의 경험
- COVID-19로 인해 전환된 화상상담의 내담자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의견 분석과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에서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을 지원하는 시각화 도구 및 학습성과 분석
- 대학생의 정신건강, 디지털 사회자본, 디지털 리터러시, 스마트폰 의존도, 학습몰입과의 구조적 관계
- 한 중년전환기 직장인의 장기근속 후 이직 결정 경험 연구
- 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 예측 모형 개발연구
- 고등학생들의 주제 탐구 논술에서 논증 형식 변화 분석
- 국내 상담학 분야의 현상학적 연구 동향 분석(2010~2020)
-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 학업소진, 사회적지지 다중매개 분석
-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Anthropocene) 위기의 심화와 대응방안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 학생 수요 기반 교양교육 개선 방안 연구
- [Erratum]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의견 분석과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 [Erratum] 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 예측 모형 개발연구
- 학습자 주도 질문 활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탐구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초등학교 취학 후 학업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게임 캐릭터 감정이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