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생 수요 기반 교양교육 개선 방안 연구
이용수 472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Student Demand: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s ‘Liberal Arts Education Student Monitoring Group’ as a Student Demand and Opinion Analysis Organiz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11호, 251~27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15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생 수요 및 의견 분석 기구로서 K대학교의 ‘교양교육 학생 모니터링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 및 결과 분석을 통해 학습자 중심 교양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교육의 주체이자 수요자인 학생의 눈높이에 맞추어 교육적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실적인 시사점을 도출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방법 K대학교 교양대학은 2020년 2학기에 ‘학생 모니터링단’을 구성하고, 교양교육(심화교양) 영역을 중심으로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 모니터링단’ 학생들은 다양한 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 의견 조사 설문 문항(안)을 도출하였다. 이 조사 설문 문항은 모니터링단 지도교수 등의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 문항으로 완성되었다. 설문조사는 2020년 11월 30일(월)~2020년 12월 4일(금)까지 온라인 설문 폼을 활용하여 진행되었고, 총 285명의 학생이 응답하였다. 문항은 5점 척도이고 이외에 인적 정보(학년, 소속, 단과대학, 성별) 관련 기본 문항, 주관식 문항 등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분석 결과, 학생들은 교양교육 영역에서 듣고 싶은 교과목의 개설과 영역별 고른 분포에 있어 보다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같은 맥락에서 강좌별 정원 수와 수업 선택의 기회가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는 입장이 많았다. 또한 성적 평가에 있어 다변화된 문제 출제 등을 요한다고 보는 경향이 있었다. 교양교육 영역의 개선점(주관식)으로 ‘인기 강좌 클래스의 증설’이, 개설 희망 주제로는 ‘예체능/미술/영화/매체’가 가장 많았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요구와 향후 과제를 파악하였다.
결론 이러한 사례 분석을 기반으로 교양교육 영역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의 방법과 과정, 주요 결과, 문제점과 해결 방안 등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생 수요 및 의견 분석 기구로서 K대학교의 ‘교양교육 학생 모니터링단’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 및 결과 분석을 통해 학습자 중심 교양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교육의 주체이자 수요자인 학생의 눈높이에 맞추어 교육적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현실적인 시사점을 도출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방법 K대학교 교양대학은 2020년 2학기에 ‘학생 모니터링단’을 구성하고, 교양교육(심화교양) 영역을 중심으로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 모니터링단’ 학생들은 다양한 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고 학생 의견 조사 설문 문항(안)을 도출하였다. 이 조사 설문 문항은 모니터링단 지도교수 등의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 문항으로 완성되었다. 설문조사는 2020년 11월 30일(월)~2020년 12월 4일(금)까지 온라인 설문 폼을 활용하여 진행되었고, 총 285명의 학생이 응답하였다. 문항은 5점 척도이고 이외에 인적 정보(학년, 소속, 단과대학, 성별) 관련 기본 문항, 주관식 문항 등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분석 결과, 학생들은 교양교육 영역에서 듣고 싶은 교과목의 개설과 영역별 고른 분포에 있어 보다 많은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같은 맥락에서 강좌별 정원 수와 수업 선택의 기회가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는 입장이 많았다. 또한 성적 평가에 있어 다변화된 문제 출제 등을 요한다고 보는 경향이 있었다. 교양교육 영역의 개선점(주관식)으로 ‘인기 강좌 클래스의 증설’이, 개설 희망 주제로는 ‘예체능/미술/영화/매체’가 가장 많았다.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요구와 향후 과제를 파악하였다.
결론 이러한 사례 분석을 기반으로 교양교육 영역에 대한 학생 의견 조사의 방법과 과정, 주요 결과, 문제점과 해결 방안 등에 대해 검토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In this study, focusing on the case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Student Monitoring Group’ of K University, which is a ‘student demand and opinion analysis organization,’ we propose a learner-centered liberal arts curriculum structure and operation plan through a student opinion survey and result analysis on liberal arts education.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s educational needs according to the eye level of students, who are the principal and consumer of education, and draws realistic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Methods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he College of Liberal Arts of K University formed the “Student Monitoring Group” and conducted a student opinion survey o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focusing on the liberal arts education (advanced liberal arts). The students of the “Student Monitoring Group” conducted a basic survey on liberal arts education for students from various departments and drew up student opinion survey questionnaires(draft). This survey questionnaire was completed as the final question after expert review by the supervisor of the monitoring team.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online survey form from November 30, 2020 (Mon) to December 4, 2020 (Fri), and a total of 285 students responded. The questions were basically a 5-point scale, and in addition, they consisted of basic question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grade, affiliation, college, gender), subjective questions, etc.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more improvement was needed in t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11호
- 비대면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협력적 자기조절,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팀 효능감, 문제해결력 간의 관계에 대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 한글 문해 앱(App) 제작에 기반한 스마트폰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가능성 탐색
- Early childhood teacher certification in major countries: criteria and curriculum
- 역량중심 교양교육 실현을 위한 CQI 적용 및 성과 분석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동기 부모애착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진로개발역량 잠재전이유형과 관련 변인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교 적응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The Effectiveness of Experiential Hygiene Education on the Attitudes Toward and Practice of Personal Hygiene Among the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코로나 19 장기화에 따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가정양육 경험에 관한 연구
- 현직 유아교사의 ‘유아 원격교육에서의 유아교사’에 대한 이미지
- The Impact of Korean University Restructuring on the Employment of NESTs and NNESTs
- 직무역량 기반 블라인드 이력서 작성을 위한 모바일 인터페이스 설계
- 온라인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적극성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의 관계
- 종양전문간호사의 노인 암환자 케어 코디네이션 경험에 관한 내용분석
- 토픽모델링을 통한 우수 원격수업 특성 및 요소 연구
- 중⋅고등학생용 학생주도성 측정 도구 개발
- 읽기부진 학생을 위한 ‘개에게 책 읽기 프로그램’의 교육적 개입 모형 탐색
- 부모의 결혼만족도, 초등학생의 부모애착, 자아탄력성, 자아정체감,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
- 글쓰기 교육에 참여한 지구과학교육 전공 교사들의 SSI 교수에 대한 인식 및 글쓰기에 나타난 논증 구조 분석
-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 1학년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플로리싱 관계에서 인지적 자기조절의 매개효과
- 과학 개념에 기반한 메이커 교육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 중급상담자의 의미 있는 관계 경험과 개인적 성장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사역량이 유아의 2019 개정 누리과정 교육내용 경험 정도에 미치는 영향
-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학년 통합 체육수업 경험과 교육적 의미
- 역함수의 존재성에 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이해
- 전문연주자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공연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 분야 국내 내러티브 탐구 동향분석(2000~2021)
-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 참여도 및 전공 만족도 관계에서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부모의 비일관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행복감의 관계에서 주의집중과 그릿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영향요인 탐색
- 대구⋅경북권 초⋅중등학교 현직교사의 융합수업에 대한 인식 및 교육요구도 조사 연구
- 임상수행능력 강화를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병합 간호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 대학 온라인 팀 학습에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일치유형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헌혈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직적성의 매개효과
- 여고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간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성인의 인정욕구와 사회불안의 관계
- 대학생들의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진로 결정수준 간의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 유아교육 전공 교과 수업에 2019 개정 누리과정을 반영하는 교수의 경험
- COVID-19로 인해 전환된 화상상담의 내담자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의견 분석과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 컴퓨터 기반 협력학습에서 사회적으로 공유된 조절을 지원하는 시각화 도구 및 학습성과 분석
- 대학생의 정신건강, 디지털 사회자본, 디지털 리터러시, 스마트폰 의존도, 학습몰입과의 구조적 관계
- 한 중년전환기 직장인의 장기근속 후 이직 결정 경험 연구
- 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 예측 모형 개발연구
- 고등학생들의 주제 탐구 논술에서 논증 형식 변화 분석
- 국내 상담학 분야의 현상학적 연구 동향 분석(2010~2020)
-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 학업소진, 사회적지지 다중매개 분석
-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Anthropocene) 위기의 심화와 대응방안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 학생 수요 기반 교양교육 개선 방안 연구
- [Erratum]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의견 분석과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탐색
- [Erratum] 머신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핵심역량 지표 예측 모형 개발연구
- 학습자 주도 질문 활동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탐구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초등학교 취학 후 학업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게임 캐릭터 감정이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