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체육교사 표현영역 전문성 함양을 위한 통합적 수업의 실행연구
이용수 177
- 영문명
- An Action Research on Integrative Classes for the Development of rofessionalism of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성혜(Sunghae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533~54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15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체육교사의 표현영역 전문성 함양을 위한 표현영역교육 수업을 개선하고 확장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통합적 표현영역 수업 계획 및 설계, 수업 실행과정에 대한 관찰 및 분석, 수업의 효과와 확대 가능성 검토의 3단계를 거쳐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표현영역교육 수업을 실행하는 연구자와 그 수업에 참여한 예비체육교사 20명이다. 자료 수집은 문헌 및 현지자료, 참여관찰, 개방형 설문 및 면담, 반성적 수업일지 및 학습일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으로 범주화하였다. 결과 표현영역교육 수업은 표현영역에 포함된 심동적, 정의적, 인지적 역량을 균형 있게 체험하도록 직접 체험하는 활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간접 체험 활동을 포함하여 통합적으로 구성하였으며, 영상 활용 수업을 운영하여 예비체육교사들이 표현영역 관련 신체활동을 응용하고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협동학습 및 문제기반학습을 활용하여 표현영역 관련 과제를 해결하도록 독려하였다. 통합적 표현영역의 수업의 효과는 목표 측면에서 표현영역의 이해를 통한 중요성 및 관점의 변화, 내용 측면에서 표현영역 내용의 다양성 확인, 방법 측면에서 표현영역 방법의 다각적 체험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목표, 내용, 방법 측면의 변화는 표현영역의 교육적 가치를 발견하고 교육자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체육교사들의 표현영역 전문성 향상을 위해 표현영역 관련 예비체육교사교육의 정비, 표현영역교육 수업에서 통합적 관점으로의 전환, 표현영역교육을 지도하는 교수자의 반성적 성찰 및 지속적 성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expression area education class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it in order to improve the expression area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of the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Methods An action research was carried out in three stages: planning and design of the integrated expression domain class, observation and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review of effects and expansion possi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a researcher who conducted an expression area education class and 20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d field data, participatory observation, open-end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nd reflective class and learning diaries.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by inductive category analysis. Results The plan and application of the expression area education class was integrated into a variety of indirect experience activities as well as direct experiences so that the psychodynamic, affective, and cognitive competencies included in the expression area were evenly experienced. In addition, by operating video-based classes,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could stimulated to apply physical activities related to the expression area, and were encouraged to solve tasks related to the expression area using cooperative learning and problem-based lear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in the integrated expression area was revealed as a change in importance and perspectiv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expression area on the goal aspect, confirmation of the diversity of the expression area contents in the content aspect, and the multifaceted experience of the expression area method in the method aspect. These changes in the aspect of goals, contents and methods served as an opportunity to discover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expression area an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ducator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the expression area, it is necessary to reorganization of the education for pre-servie physical education teacher education related to the expression area. Furthermore, an integrated perspective is required for the education class in the expression area, and reflection and continuous growth of teacher educators in the expression area are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nfluencing Factors of Willingness to Teach amo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Minority Area in China
- 초등학교 저학년의 지능, 행동문제, 학업성취 관계에서 행동문제의 매개효과 및 집행기능의 조절효과
- 비대면 원격수업에서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 대상 「유아교과 논리 및 논술」 과목 운영의 어려움과 개선방안
-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생 진로인식 및 진로탐색행동과 요구도 분석
- COVID-19로 비대면 학기를 경험한 대학생의 학교소속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접근-회피동기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학습동기, 핵심역량, 메타인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 성악전공 대학생의 공연불안과 공연성취와의 관계에서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현실비행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배움공동체 이해
- 모델링 기반 탐구 활동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 학교현장실습에서 예비 역사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예비유아교사 비대면 수업 경험 탐구
- 영유아의 일상 및 외상 후 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 국내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음식갈망을 매개로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과학 탐구 수업을 위한 중학교 과학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변화와 특징
- 예비영어교사들의 창의적 수업역량 계발을 위한 수업방법 지도 방안
-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이 사회적 자본과 교사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서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과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Edu Tech)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STEAM 기반 중학교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헤어 과정평가형제도를 통한 미용인의 기술 전문성과 인성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SBAR를 활용한 건강사정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의 교육 방안 연구
- 학습자 배움중심교육을 위한 학습권 실현 조건 탐색
- 동화를 활용한 질문중심의 하브루타 수업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 연구 동향(1991-2020)
-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및 교수역량 강화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23호 목차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자살 및 자해 상담 교육프로그램 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 스마트폰 의존이 학업성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유⋅초 연계 관점에서 본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 나타난 놀이 실행 비교
- 코로나 19(COVID-19) 상황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유아 극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근로자의 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가 혈액변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초등교사의 수학영재수업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분석
- 개업상담자의 초기 운영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핵심덕목 및 핵심인성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안
- 중국 초⋅중⋅고 인공지능 교과서의 탐구 경향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자립적인 노후 생활’ 단원 내용 분석
- 오감요리활동이 영아의 놀이성과 식태도 및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Grit 간의 관계
-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예측모형 연구
- 몽골 전문대학의 온라인 수업 교수역량 요구분석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인지적 유연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관계
- 교양영어와 예술교과의 융복합 사례 연구
- 고등학생의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 양상 분석
-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태도 및 교육적 활용
- 남자 중학생의 성(性)에 관한 인식 연구
-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게임조절력의 관계
- 블랜디드 러닝 형식의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수업 운영효과에 관한 연구
-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예측요인 탐색
- 우울한 성인의 자살사고에 관한 구조모형
- COVID-19 상황에서 일 개 대학의 실시간 화상 온라인 시험에 대한 성별, 연령, 시험응시지역에 따른 만족도 분석
- 성소수자와 직접적인 접촉경험1)이 있는 비성소수자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IPA 분석을 통한 대학 모델과(科) 교육서비스품질 명료화(明瞭化)
- Filling the Gap between Active and Passive Word Knowledge with the Focus on Colligation
- 예비체육교사 표현영역 전문성 함양을 위한 통합적 수업의 실행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 경험 탐색
- 가부장적 사회에서 모녀 상담자의 자기실현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체계적 문헌 고찰을 활용한 네트워크 역량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Folkehøjskole) 교육모델 분석 : 그룬트비의 교육사상 기반 평생교육 미래방향 탐색
- 여성 직업능력개발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최근 20년간(2003∼2023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