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대면 원격수업에서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568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D-PBL instructional program in non face-to-face distance instruction & the effect of the group creativ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연(Kim, Suny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125~14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15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 공감 활동과 문제중심학습을 접목한 새로운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2020학년도 1학기에 실제 교직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2개의 분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설정하고 실험집단에 디자인 씽킹 공감 활동을 처지한 후, 집단창의성 설문조사와 초점 집단 면담을 진행하였다. 코로나 19로 인하여 2020학년도 1학기는 비대면 원격수업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토론, 발표, 평가, 설문조사, 면담 등 모든 과정이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결과 첫째, D-PBL의 구체적인 수업 절차는 집단이해, 사용자 공감, 문제 탐색, 학습과제 결정, 역할 분담, 협력적 문제해결, 발표 및 피드백이며, 각 절차를 토대로 7차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공감 단계 집단창의성 사고과정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온라인 면담에서 공감활동이 집단 구성원 간 공감 능력 향상, 핵심적 가치 발견, 문제 정의 그리고 최종 결과물에 반영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집단창의성 결과물에 유위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집단창의성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를 통해 수업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D-PBL instructional program that integrated design thinking empathy activities into PBL and to analyze the effects on group creativity. Methods For doing so, the study assigned college students, who attended teacher-training course, into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hat treated empathy activities, and conducted survey research and focus group interview for group creativity in the 2020 first semester. Every data collection work including discussion, presentation, assessment, survey, and interview was conducted on online due to COVID 19. Results First, the study identified the concrete steps of D-PBL and developed 7-session instructional program using the D-PBL the steps of which were group comprehension, user empathy, problem exploration, decision of learning issues, role division,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nd presentation & feedback. Second, the study foun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user empathy step of the D-PBL instructional program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one. Empathy activities were reflected on the improvement of empathy ability among group members, discovery of essential value, problem definition, and final product. Third, the study found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group creativity product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one. Conclusions D-PBL instructional model positively affected group creativity, with these findings the study offered instruc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Ⅳ.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에 대한 집단창의성 효과 검증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nfluencing Factors of Willingness to Teach amo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Minority Area in China
- 초등학교 저학년의 지능, 행동문제, 학업성취 관계에서 행동문제의 매개효과 및 집행기능의 조절효과
- 비대면 원격수업에서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 대상 「유아교과 논리 및 논술」 과목 운영의 어려움과 개선방안
-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생 진로인식 및 진로탐색행동과 요구도 분석
- COVID-19로 비대면 학기를 경험한 대학생의 학교소속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접근-회피동기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학습동기, 핵심역량, 메타인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 성악전공 대학생의 공연불안과 공연성취와의 관계에서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현실비행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배움공동체 이해
- 모델링 기반 탐구 활동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 학교현장실습에서 예비 역사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예비유아교사 비대면 수업 경험 탐구
- 영유아의 일상 및 외상 후 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 국내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음식갈망을 매개로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과학 탐구 수업을 위한 중학교 과학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변화와 특징
- 예비영어교사들의 창의적 수업역량 계발을 위한 수업방법 지도 방안
-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이 사회적 자본과 교사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서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과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Edu Tech)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STEAM 기반 중학교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헤어 과정평가형제도를 통한 미용인의 기술 전문성과 인성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SBAR를 활용한 건강사정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의 교육 방안 연구
- 학습자 배움중심교육을 위한 학습권 실현 조건 탐색
- 동화를 활용한 질문중심의 하브루타 수업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 연구 동향(1991-2020)
-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및 교수역량 강화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23호 목차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자살 및 자해 상담 교육프로그램 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 스마트폰 의존이 학업성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유⋅초 연계 관점에서 본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 나타난 놀이 실행 비교
- 코로나 19(COVID-19) 상황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유아 극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근로자의 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가 혈액변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초등교사의 수학영재수업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분석
- 개업상담자의 초기 운영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핵심덕목 및 핵심인성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안
- 중국 초⋅중⋅고 인공지능 교과서의 탐구 경향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자립적인 노후 생활’ 단원 내용 분석
- 오감요리활동이 영아의 놀이성과 식태도 및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Grit 간의 관계
-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예측모형 연구
- 몽골 전문대학의 온라인 수업 교수역량 요구분석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인지적 유연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관계
- 교양영어와 예술교과의 융복합 사례 연구
- 고등학생의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 양상 분석
-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태도 및 교육적 활용
- 남자 중학생의 성(性)에 관한 인식 연구
-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게임조절력의 관계
- 블랜디드 러닝 형식의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수업 운영효과에 관한 연구
-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예측요인 탐색
- 우울한 성인의 자살사고에 관한 구조모형
- COVID-19 상황에서 일 개 대학의 실시간 화상 온라인 시험에 대한 성별, 연령, 시험응시지역에 따른 만족도 분석
- 성소수자와 직접적인 접촉경험1)이 있는 비성소수자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IPA 분석을 통한 대학 모델과(科) 교육서비스품질 명료화(明瞭化)
- Filling the Gap between Active and Passive Word Knowledge with the Focus on Colligation
- 예비체육교사 표현영역 전문성 함양을 위한 통합적 수업의 실행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 경험 탐색
- 가부장적 사회에서 모녀 상담자의 자기실현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체계적 문헌 고찰을 활용한 네트워크 역량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Folkehøjskole) 교육모델 분석 : 그룬트비의 교육사상 기반 평생교육 미래방향 탐색
- 원자력 발전, 근대화 담론, 그리고 사회-물질적 연결망의 학습 : 산업화 세대 원전 지지자들의 원전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