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TEAM 기반 중학교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용수 440
- 영문명
- Development of STEAM-based Art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and Verification on the Effect: Focused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e Characte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기세홍(Se-Hong Ki) 권재환(Jae-Hwan Kw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755~77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15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STEAM 기반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학과 과학의 개념적인 요소들을 미술 교과목 지식과 연계하여 가시적인 작품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체험 중심의 STEAM 모듈을 구성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16주(32시간) 동안 진행되는 세 가지 프로젝트 학습이다(① 마블링을 이용한 생활소품 디자인 꾸미기, ② 입체도형과 평면도형의 균형으로 모빌 만들기, ③ 키스 해링 작품을 활용한 벽화 그리기). 프로그램 적용은 G시에 소재한 P중학교 1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고 사전-사후-추후검증을 통해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본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고, 추후검증 결과에서도 그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창의적 인성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으나, 일부 하위요인들은 추후검증 결과에서 그 효과가 지속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개선점을 보완하여 적용한다면 중학교 미술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고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요한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창의적 인성을 갖춘 미래인재를 양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o develop STEAM based art education program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creative character of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For this purpose an experience focused STEAM module was constructed to make concept elements of mathematics and science into visible works by linking them with art subject knowledge. The program consists of three types of projects that run over 16 weeks(32 hours), which are ① Decorating living items with the art of marbling, ② Making a mobile with a balance between three-dimensional and two-dimensional figures, and ③ Drawing a mural (big picture) using Keith Haring s work. This program was applied to the two classes of the 1st grade of P middle school located in G city, Gyeonggi-do.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through pre-, post- and follow-up verification. Results First, the STEAM-based art education progra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its effectiveness lasted in follow-up tests, including the all sub-factor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Second, the STEAM-based art education progra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e character. However, its effectiveness decreased in follow-up tests with the lower scores than in post-tests despite the higher scores than in pre-tests. Therefore, the art education program is partly effective in developing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e characters. Conclusions With more practical improvement, the operation of this program is expected to encourage a new paradigm in art education and cultivation of the future generation with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eative character, which will be required for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STEAM 기반 미술교육 프로그램 구성
Ⅳ. 연구 방법
Ⅴ. 연구 결과
Ⅵ.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nfluencing Factors of Willingness to Teach amo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Minority Area in China
- 초등학교 저학년의 지능, 행동문제, 학업성취 관계에서 행동문제의 매개효과 및 집행기능의 조절효과
- 비대면 원격수업에서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 대상 「유아교과 논리 및 논술」 과목 운영의 어려움과 개선방안
-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생 진로인식 및 진로탐색행동과 요구도 분석
- COVID-19로 비대면 학기를 경험한 대학생의 학교소속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접근-회피동기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학습동기, 핵심역량, 메타인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 성악전공 대학생의 공연불안과 공연성취와의 관계에서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현실비행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배움공동체 이해
- 모델링 기반 탐구 활동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 학교현장실습에서 예비 역사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예비유아교사 비대면 수업 경험 탐구
- 영유아의 일상 및 외상 후 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 국내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음식갈망을 매개로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과학 탐구 수업을 위한 중학교 과학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변화와 특징
- 예비영어교사들의 창의적 수업역량 계발을 위한 수업방법 지도 방안
-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이 사회적 자본과 교사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서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과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Edu Tech)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STEAM 기반 중학교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헤어 과정평가형제도를 통한 미용인의 기술 전문성과 인성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SBAR를 활용한 건강사정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의 교육 방안 연구
- 학습자 배움중심교육을 위한 학습권 실현 조건 탐색
- 동화를 활용한 질문중심의 하브루타 수업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 연구 동향(1991-2020)
-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및 교수역량 강화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23호 목차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자살 및 자해 상담 교육프로그램 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 스마트폰 의존이 학업성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유⋅초 연계 관점에서 본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 나타난 놀이 실행 비교
- 코로나 19(COVID-19) 상황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유아 극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근로자의 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가 혈액변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초등교사의 수학영재수업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분석
- 개업상담자의 초기 운영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핵심덕목 및 핵심인성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안
- 중국 초⋅중⋅고 인공지능 교과서의 탐구 경향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자립적인 노후 생활’ 단원 내용 분석
- 오감요리활동이 영아의 놀이성과 식태도 및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Grit 간의 관계
-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예측모형 연구
- 몽골 전문대학의 온라인 수업 교수역량 요구분석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인지적 유연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관계
- 교양영어와 예술교과의 융복합 사례 연구
- 고등학생의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 양상 분석
-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태도 및 교육적 활용
- 남자 중학생의 성(性)에 관한 인식 연구
-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게임조절력의 관계
- 블랜디드 러닝 형식의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수업 운영효과에 관한 연구
-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예측요인 탐색
- 우울한 성인의 자살사고에 관한 구조모형
- COVID-19 상황에서 일 개 대학의 실시간 화상 온라인 시험에 대한 성별, 연령, 시험응시지역에 따른 만족도 분석
- 성소수자와 직접적인 접촉경험1)이 있는 비성소수자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IPA 분석을 통한 대학 모델과(科) 교육서비스품질 명료화(明瞭化)
- Filling the Gap between Active and Passive Word Knowledge with the Focus on Colligation
- 예비체육교사 표현영역 전문성 함양을 위한 통합적 수업의 실행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 경험 탐색
- 가부장적 사회에서 모녀 상담자의 자기실현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체계적 문헌 고찰을 활용한 네트워크 역량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Folkehøjskole) 교육모델 분석 : 그룬트비의 교육사상 기반 평생교육 미래방향 탐색
- 원자력 발전, 근대화 담론, 그리고 사회-물질적 연결망의 학습 : 산업화 세대 원전 지지자들의 원전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