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현장실습에서 예비 역사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이용수 461
- 영문명
- What were difficulties of student-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허신혜(Heo, Shin-hy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19~3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15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학교현장실습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분석하여 교사양성과정과 실습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4년에 예비조사를 거쳐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개년 간 수집한 자료를 Spradly가 제안한 주제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는 실습의 사후활동을 위해 토론에 참여한 예비교사들이 기술한 자료로써, 실습에서 자신이 느낀 어려움을 기술한 것이었다. 주제 분류 과정에서 오는 판단의 오류를 최대한 피하고자 선행연구와 비교 검토하면서 범주화하였고, 선행연구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주제는 다양한 확인 과정을 거쳐서 새롭게 범주화하였다. 결과 예비교사들이 어려움을 느꼈다고 기술한 것은 6개의 영역으로 나타났다. 응답률이 높은 순위로 기술하면 다음과 같았다. ‘교과학습지도’, ‘관계맺기’, ‘생활지도’, ‘실습여건’, ‘학급경영’, ‘특별활동지도’이다. 이 가운데서 ‘관계맺기’와 ‘실습여건’은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는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던 부분이었으며, 자료를 수집하던 초기에는 연구자도 미처 주목하지 못하였던 부분이었다. 그러나 자료가 축적되면서 이에 대한 어려움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실습생들을 위한 대학의 사전교육과 학교현장의 사전 OT에서 어떤 내용을 포함시켜야 할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 또한 연구결과에서 주목할 부분은 예비교사들이 ‘통제의 어려움’과 ‘관리의 어려움’을 지속적으로 표현하였다는 점이다. 이는 교과학습지도, 생활지도, 특별활동지도, 그리고 학급경영의 영역에까지 학생들과 관련된 모든 영역에서 골고루 나타난 현상이었다. 예비교사들이 교육활동에서 통제를 가장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은 초심자 단계에서 나타나는 불안감이 교육활동 본래의 목적에 집중하기보다는 통제의 방법에 몰두하도록 만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에게는 이러한 불안감이 초심자 단계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임을 이해할 수 있도록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나아가 지속적인 도전과 성찰에 집중할 수 있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결론 교사교육자 및 실습과 관련된 모든 교육자들은 예비교사들이 자신의 교육 행위를 초심자라는 맥락 속에서, 그리고 다양한 경로로 발달할 수 있는 발달의 초기 단계라는 맥락 속에서 성찰할 수 있도록 이론적⋅경험적 토대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실습이라는 공적인 영역을 지도교사 개인의 희생과 사명감에 기대는 현재의 방식은 개선되어야 한다. 이는 종종 제기되고 있는 실습 기간의 연장 문제 이전에, 현행 실습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해 실습의 각 영역별로 논의를 구체화하고 선결 과제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try to examine student-teachers’ difficulties during teaching practice. To improve the problems of teaching practice, it is necessary to specifically examine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of experienced student- teachers. Methods During discussion activities after teaching practice, the student-teachers described their difficulties in teaching practice. These descriptions, brief writings were analyzed by quantitative methods and qualitative methods. For qualitative analysis, Spradly’ theory has adopted the tool.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largest number of student-teachers responded that they felt difficulty in their subject teaching. Student-teachers struggled to make their students concentrate and join on noise and unresponsive in their class. Student-teachers tried to overcome difficulties by creating new learning materials and changing their learning activities. In many cases, student-teachers have been describing the expression, that was control and management. The same expression appeared in other areas including school activity, class management, and so on. This is a general characteristic that appear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a novice. In other words, the student-teachers eyes are locked in their narrow situation of beginners who have to struggle to survive, focusing on developing control skill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essence of learning or the purpose of student activities. Conclusions Therefore, teacher educators should give guidance to student-teacher, they can reflect on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beginners, and in the understanding that various development ways can appear. Also, many student-teacher described they had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y were in trouble with having appropriate distance with their students as well as schoolteachers including the principal vice-principal. It was due to an ambiguous posi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raining focus on case-based training related to these situations in schools and colleg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및 내용
Ⅲ. 연구 결과 및 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nfluencing Factors of Willingness to Teach amo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Minority Area in China
- 초등학교 저학년의 지능, 행동문제, 학업성취 관계에서 행동문제의 매개효과 및 집행기능의 조절효과
- 비대면 원격수업에서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 대상 「유아교과 논리 및 논술」 과목 운영의 어려움과 개선방안
-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생 진로인식 및 진로탐색행동과 요구도 분석
- COVID-19로 비대면 학기를 경험한 대학생의 학교소속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접근-회피동기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학습동기, 핵심역량, 메타인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 성악전공 대학생의 공연불안과 공연성취와의 관계에서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현실비행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배움공동체 이해
- 모델링 기반 탐구 활동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 학교현장실습에서 예비 역사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예비유아교사 비대면 수업 경험 탐구
- 영유아의 일상 및 외상 후 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 국내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음식갈망을 매개로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과학 탐구 수업을 위한 중학교 과학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변화와 특징
- 예비영어교사들의 창의적 수업역량 계발을 위한 수업방법 지도 방안
-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이 사회적 자본과 교사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서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과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Edu Tech)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STEAM 기반 중학교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헤어 과정평가형제도를 통한 미용인의 기술 전문성과 인성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SBAR를 활용한 건강사정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의 교육 방안 연구
- 학습자 배움중심교육을 위한 학습권 실현 조건 탐색
- 동화를 활용한 질문중심의 하브루타 수업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 연구 동향(1991-2020)
-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및 교수역량 강화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23호 목차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자살 및 자해 상담 교육프로그램 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 스마트폰 의존이 학업성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유⋅초 연계 관점에서 본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 나타난 놀이 실행 비교
- 코로나 19(COVID-19) 상황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유아 극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근로자의 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가 혈액변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초등교사의 수학영재수업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분석
- 개업상담자의 초기 운영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핵심덕목 및 핵심인성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안
- 중국 초⋅중⋅고 인공지능 교과서의 탐구 경향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자립적인 노후 생활’ 단원 내용 분석
- 오감요리활동이 영아의 놀이성과 식태도 및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Grit 간의 관계
-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예측모형 연구
- 몽골 전문대학의 온라인 수업 교수역량 요구분석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인지적 유연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관계
- 교양영어와 예술교과의 융복합 사례 연구
- 고등학생의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 양상 분석
-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태도 및 교육적 활용
- 남자 중학생의 성(性)에 관한 인식 연구
-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게임조절력의 관계
- 블랜디드 러닝 형식의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수업 운영효과에 관한 연구
-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예측요인 탐색
- 우울한 성인의 자살사고에 관한 구조모형
- COVID-19 상황에서 일 개 대학의 실시간 화상 온라인 시험에 대한 성별, 연령, 시험응시지역에 따른 만족도 분석
- 성소수자와 직접적인 접촉경험1)이 있는 비성소수자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IPA 분석을 통한 대학 모델과(科) 교육서비스품질 명료화(明瞭化)
- Filling the Gap between Active and Passive Word Knowledge with the Focus on Colligation
- 예비체육교사 표현영역 전문성 함양을 위한 통합적 수업의 실행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 경험 탐색
- 가부장적 사회에서 모녀 상담자의 자기실현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체계적 문헌 고찰을 활용한 네트워크 역량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Folkehøjskole) 교육모델 분석 : 그룬트비의 교육사상 기반 평생교육 미래방향 탐색
- 여성 직업능력개발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최근 20년간(2003∼2023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