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자 배움중심교육을 위한 학습권 실현 조건 탐색
이용수 532
- 영문명
- Search for the conditions of realization of the right for learning for the learner learning-centered educ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Momgsil School in Uijeongbu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홍제남(Hong, Je Nam) 김혜원(Kim, Hye W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223~25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15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습자가 자신들에게 필요한 학습을 실현할 수 있는 학습권 실현조건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제시하여, 이후 학습자의 학습권이 실현이 가능한 교육혁신의 실천방안 모색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학습권 실현을 위한 7가지 요소로 학습주체, 학습목적, 교육과정(학습내용), 학습방법 및 평가, 학습시기, 학습장소, 학습제도를 도출하고, 사전연구를 통해 경기도 의정부의 청소년자치배움터인 몽실학교를 목적표집하였다. 본 연구는 목적표집한 몽실학교에 대한 사례연구로 1년 반에 걸쳐 참여관찰, 문화기술지적 접근,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청소년, 청년, 성인활동가 등 총 39명), 기초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이렇게 수집한 자료를 연구대상과 관련된 각종 문서와 함께 질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혁신학교가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교 밖에 청소년자치배움터가 별도로 만들어진 이유는, 현재의 학교교육제도에서는 학습권을 실현하기 어렵기 때문이었다. 몽실학교는 처음부터 학습자가 주체가 되는 학습을 가장 중요한 가치로 지향하며 추진하였고 운영과정에도 청소년들이 실질적인 주체로 참여하고 있었다. 둘째, 청소년들은 학교와 달리 자신에게 필요한 교육과정을 스스로 구성하여 주체적으로 학습하며 학습권을 실현하고 있었다. 청소년들은 ‘진짜 학습’을 할 수 있는 ‘진짜 학교’를 원하고 있었으며, 몽실학교가 ‘진짜 학교’ 같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청소년들은 이 과정에서 여러 가지 긍정적인 정의적인 영역(책임감, 자신감, 배려와 협력, 공동체 의식, 도전 의식 등) 또한 길러지고 있다고 하였다. 결론 청소년들은 청소년 자치배움터인 몽실학교에서 자신의 학습과정에 주체로 서서 의미있는 학습을 실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것은 학습권이 실현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이 상당 부분 실제로 보장되고 있기 때문이었다. 학교 밖에 있는 청소년 자치배움터의 이러한 성과는 이후 교육혁신의 방향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nditions for learners to realize the education needed to themselves and provide implications compatible with the direction of education renovation through that. Methods By reviewing preceding researches, this study draws 7 components as learning subject, learning purpose, curriculum(content of learning), learning method & assessment, learning time, learning place and learning institution for realizing the right for learning and conducts purposive sampling on Mongsil School the adolescent self-governing learning place located in Uijeongbu, Gyeonggi-do through study in advance. For about 1 and a half years, participatory observation, ethnographic approach, semi-structured depth interview(39 people including adolescents, young adults and adult activists etc.) and surveys for basic research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and the data collected thereby were analyzed with various documents related to the subject of study. Results First the reason adolescent self-governing learning place was established outside the school despite the renovative school being operated is because it is hard to realize the right for learning in the current school education institutions. Mongsil School has set the learning where the learners are subject as the prime value and carried it out therefore the adolescents participating the operation process as effective subjects. Second, the adolescents realized the right for learning by organizing curriculum necessary for their own and learning with subjectivity unlike schools. They wanted an ‘authentic school’ for ‘authentic learning’ and perceived Mongsil school as the ‘authentic school’. Third, the adolescents said that various positive affective sectors(responsibility, self-confidence, care & cooperation, community spirit and sense of challenge etc.) were being raised through the process. Conclusions It can be decided that the adolescents realize the meaningful learning as subjects of their learning process at Mongsil School the adolescent self-governing place. It is because the considerable conditions for realizing the right for learning are actually guaranteed. This performance of the adolescent self-governing place outside the schools implys a lot to the direction of education renovation aft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몽실학교 경험에 대한 인식과 의미
Ⅴ. 논의: 패러다임의 전환, ‘교수’를 너머 ‘주체’의 학습
Ⅵ.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nfluencing Factors of Willingness to Teach amo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Minority Area in China
- 초등학교 저학년의 지능, 행동문제, 학업성취 관계에서 행동문제의 매개효과 및 집행기능의 조절효과
- 비대면 원격수업에서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 대상 「유아교과 논리 및 논술」 과목 운영의 어려움과 개선방안
-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생 진로인식 및 진로탐색행동과 요구도 분석
- COVID-19로 비대면 학기를 경험한 대학생의 학교소속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접근-회피동기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학습동기, 핵심역량, 메타인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 성악전공 대학생의 공연불안과 공연성취와의 관계에서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현실비행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배움공동체 이해
- 모델링 기반 탐구 활동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 학교현장실습에서 예비 역사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예비유아교사 비대면 수업 경험 탐구
- 영유아의 일상 및 외상 후 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 국내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음식갈망을 매개로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과학 탐구 수업을 위한 중학교 과학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변화와 특징
- 예비영어교사들의 창의적 수업역량 계발을 위한 수업방법 지도 방안
-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이 사회적 자본과 교사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서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과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Edu Tech)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STEAM 기반 중학교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헤어 과정평가형제도를 통한 미용인의 기술 전문성과 인성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SBAR를 활용한 건강사정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의 교육 방안 연구
- 학습자 배움중심교육을 위한 학습권 실현 조건 탐색
- 동화를 활용한 질문중심의 하브루타 수업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 연구 동향(1991-2020)
-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및 교수역량 강화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23호 목차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자살 및 자해 상담 교육프로그램 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 스마트폰 의존이 학업성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유⋅초 연계 관점에서 본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 나타난 놀이 실행 비교
- 코로나 19(COVID-19) 상황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유아 극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근로자의 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가 혈액변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초등교사의 수학영재수업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분석
- 개업상담자의 초기 운영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핵심덕목 및 핵심인성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안
- 중국 초⋅중⋅고 인공지능 교과서의 탐구 경향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자립적인 노후 생활’ 단원 내용 분석
- 오감요리활동이 영아의 놀이성과 식태도 및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Grit 간의 관계
-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예측모형 연구
- 몽골 전문대학의 온라인 수업 교수역량 요구분석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인지적 유연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관계
- 교양영어와 예술교과의 융복합 사례 연구
- 고등학생의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 양상 분석
-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태도 및 교육적 활용
- 남자 중학생의 성(性)에 관한 인식 연구
-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게임조절력의 관계
- 블랜디드 러닝 형식의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수업 운영효과에 관한 연구
-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예측요인 탐색
- 우울한 성인의 자살사고에 관한 구조모형
- COVID-19 상황에서 일 개 대학의 실시간 화상 온라인 시험에 대한 성별, 연령, 시험응시지역에 따른 만족도 분석
- 성소수자와 직접적인 접촉경험1)이 있는 비성소수자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IPA 분석을 통한 대학 모델과(科) 교육서비스품질 명료화(明瞭化)
- Filling the Gap between Active and Passive Word Knowledge with the Focus on Colligation
- 예비체육교사 표현영역 전문성 함양을 위한 통합적 수업의 실행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 경험 탐색
- 가부장적 사회에서 모녀 상담자의 자기실현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체계적 문헌 고찰을 활용한 네트워크 역량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Folkehøjskole) 교육모델 분석 : 그룬트비의 교육사상 기반 평생교육 미래방향 탐색
- 원자력 발전, 근대화 담론, 그리고 사회-물질적 연결망의 학습 : 산업화 세대 원전 지지자들의 원전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