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OVID-19 상황에서 일 개 대학의 실시간 화상 온라인 시험에 대한 성별, 연령, 시험응시지역에 따른 만족도 분석
이용수 231
-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of Real-time Online Tests from a Medical School By Gender, Age, and Test Area of Students During COVID-19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여상희(Sanghee Yeo) 김동자(Dong Ja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805~81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15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코로나-19 상황에서 대면시험이 불가하게 됨에 따라 실시간 온라인 평가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시간 화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학생평가에 대한 학생만족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대상은 대구소재의 한 의과대학 대학원 61명이며, 온라인 시험을 실시한 과목은 총 3 과목이다. 온라인 시험에 대한 만족도 평가는 13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여 온라인으로 시행하였다. 시험진행은 학생들이 화상강의를 받았던 웹엑스로 하였다. 학생들은 웹엑스로 온라인 시험링크를 받아서, 미리 접속하고 있다가 동시에 시험을 시작하고 동시에 시험을 종료하였다. 시험응시 환경의 세팅은 학생 본인이 직접 시험을 응시하는 것이 확인되도록 본인의 모습이 촬영되도록 핸드폰이나 태블릿을 설치하도록 하였다. 부정행위에 대한 예방책으로 시험 진행과정은 녹화하였다. 결과 설문에 응답한 59명(96.7%)을 분석한 결과, 54명(91.5%)의 학생은 기술적 문제가 없이 온라인 시험이 원활히 진행되었다고 하였다. 30명(51.4%)의 학생은 온라인 시험이 익숙하지 않아 심적으로 부담된다고 응답하였으며, 25명(42.4%)의 학생은 온라인 시험방법에 익숙하지 않음으로 인해 성적에 영향을 줄까봐 우려한다고 하였다. 전반적인 평가에서는 대면시험보다 온라인 시험을 선호하였다. 온라인 시험 시에 우려되는 점으로는 네트워크 등의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시험진행 과정에서 차질이 있을까봐 우려된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고(45명, 76.3%), 부정행위에 대한 우려(26명, 44.1%), 시험문제가 쉬워져 변별도가 낮아질 것을 우려하는 의견(5명, 8.5%)이 있었다. 결론 실시간 온라인 평가를 시행해 본 결과, 원거리에서 온라인으로 수강하는 학생이 많은 대학원 수업에서 온라인 평가를 시행하는 것은 인터넷 네트워크가 안정적으로 보장된다면 권장할 만하다. 다만 부정행위에 대한 우려를 경감시키기 위해 온라인 시험감독이 가능하도록 시험환경을 세팅할 필요가 있다. 향후 팬데믹 상황에서 온라인 교육의 지속성을 고려해 볼 때 온라인 시험에 대한 시도, 대비 및 노하우를 쌓아갈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s COVID-19 put a halt to face-to-face tests, online assessment became compulsor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valuations of real-time online student assessment and student satisfaction for graduate students from different parts of the country who have taken online co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61 students from A Medical School, and a total of three courses were selected for the online tests. Students were given a survey with 13 questions developed by the author to evaluate their satisfaction levels on online tests. To conduct the online tests, students first logged onto WebEx, on which they received online lectures, to access the link to the test which was given over WebEx chat. Results it was found that 54(91.5%)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had no technical issues during the test. Thirty(51.4%)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felt psychologically pressured as they were not used to taking online tests, and 25(42.4%)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concerned that online tests would affect their grades as they are not used to taking tests online. Among the concerns for online tests, the issue about which the students were most concerned was the possible technical issues such as network issues that may lead to a setback during the tests (45 students, 76.3%), followed by cheating (26 students, 44.1%), and failure to guarantee distinction among the student levels as questions on the test may be too easy (5 students, 8.5%). Conclusions It was concluded that online assessments would be worth considering for graduate school classes where a number of students take the course online from a distance, given that there is a stable Internet network. As there are concerns that students may cheat, it is necessary to set up the testing environment appropriately to supervise the tests onlin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nfluencing Factors of Willingness to Teach amo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Minority Area in China
- 초등학교 저학년의 지능, 행동문제, 학업성취 관계에서 행동문제의 매개효과 및 집행기능의 조절효과
- 비대면 원격수업에서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 대상 「유아교과 논리 및 논술」 과목 운영의 어려움과 개선방안
-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생 진로인식 및 진로탐색행동과 요구도 분석
- COVID-19로 비대면 학기를 경험한 대학생의 학교소속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접근-회피동기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학습동기, 핵심역량, 메타인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 성악전공 대학생의 공연불안과 공연성취와의 관계에서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현실비행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배움공동체 이해
- 모델링 기반 탐구 활동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 학교현장실습에서 예비 역사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예비유아교사 비대면 수업 경험 탐구
- 영유아의 일상 및 외상 후 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 국내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음식갈망을 매개로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과학 탐구 수업을 위한 중학교 과학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변화와 특징
- 예비영어교사들의 창의적 수업역량 계발을 위한 수업방법 지도 방안
-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이 사회적 자본과 교사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서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과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Edu Tech)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STEAM 기반 중학교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헤어 과정평가형제도를 통한 미용인의 기술 전문성과 인성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SBAR를 활용한 건강사정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의 교육 방안 연구
- 학습자 배움중심교육을 위한 학습권 실현 조건 탐색
- 동화를 활용한 질문중심의 하브루타 수업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 연구 동향(1991-2020)
-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및 교수역량 강화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23호 목차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자살 및 자해 상담 교육프로그램 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 스마트폰 의존이 학업성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유⋅초 연계 관점에서 본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 나타난 놀이 실행 비교
- 코로나 19(COVID-19) 상황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유아 극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근로자의 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가 혈액변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초등교사의 수학영재수업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분석
- 개업상담자의 초기 운영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핵심덕목 및 핵심인성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안
- 중국 초⋅중⋅고 인공지능 교과서의 탐구 경향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자립적인 노후 생활’ 단원 내용 분석
- 오감요리활동이 영아의 놀이성과 식태도 및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Grit 간의 관계
-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예측모형 연구
- 몽골 전문대학의 온라인 수업 교수역량 요구분석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인지적 유연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관계
- 교양영어와 예술교과의 융복합 사례 연구
- 고등학생의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 양상 분석
-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태도 및 교육적 활용
- 남자 중학생의 성(性)에 관한 인식 연구
-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게임조절력의 관계
- 블랜디드 러닝 형식의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수업 운영효과에 관한 연구
-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예측요인 탐색
- 우울한 성인의 자살사고에 관한 구조모형
- COVID-19 상황에서 일 개 대학의 실시간 화상 온라인 시험에 대한 성별, 연령, 시험응시지역에 따른 만족도 분석
- 성소수자와 직접적인 접촉경험1)이 있는 비성소수자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IPA 분석을 통한 대학 모델과(科) 교육서비스품질 명료화(明瞭化)
- Filling the Gap between Active and Passive Word Knowledge with the Focus on Colligation
- 예비체육교사 표현영역 전문성 함양을 위한 통합적 수업의 실행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 경험 탐색
- 가부장적 사회에서 모녀 상담자의 자기실현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체계적 문헌 고찰을 활용한 네트워크 역량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Folkehøjskole) 교육모델 분석 : 그룬트비의 교육사상 기반 평생교육 미래방향 탐색
- 원자력 발전, 근대화 담론, 그리고 사회-물질적 연결망의 학습 : 산업화 세대 원전 지지자들의 원전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