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이용수 277
- 영문명
-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High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효정(Hyo Jeong Jang) 서은희(Eun Hee Se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3호, 593~60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12.15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개인적 변인(외모관심도, 자아존중감)과 환경적 변인(학교생활적응, 가족건강성)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성별에 따라 각 요인이 외모만족도에 주는 영향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 6월 29일부터 7월 17일까지 약 3주간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551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무작위 반응이나 무성의한 자료를 제외한 543부를 자료 분석에 포함시켰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들에 대하여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 검정, 상관관계 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외모만족도는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가족건강성과 정적 상관이, 외모관심도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은 성별에 따라 평균값에 차이가 없었으나, 외모관심도, 가족건강성, 학교생활적응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초등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외모관심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적응, 가족건강성을 확인하였다. 그 영향력은 자아존중감, 외모관심도, 가족건강성, 학교생활적응 순이다. 특히 외모관심도는 외모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성별에 따라 외모만족도에 주는 영향이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개인적 변인인 자아존중감과 외모관심도는 남녀학생모두에게 유의한 영향력이 있었으나, 환경적 변인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변인이 달랐다. 즉 여학생에게는 학교생활적응이, 남학생에게는 가족건강성이 외모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남녀 학생 모두에게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외모관심도를 적정 수준으로 낮추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여학생에게는 학교생활적응에 더 중점을 두고, 남학생에게는 가족건강성에 더 무게를 둔 접근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est in appearance, self-esteem, school life adjustment, and family strength on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high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identify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on appearance satisfaction depending on gender. Methods In order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543 students in grades 5 and 6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were participated. Appearance satisfaction, body esteem scale, interest in appearance scale, self-esteem scale, school life adjustment scale and the family strength scale were use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25.0 program were conducted. Results First, in correlation with appearance satisfaction, self-esteem, school life adjustment, and family strength had a positive correlation and interest in appeara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the average difference by gend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depending on gender, but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interest in appearance, family strength, and school life adjustment than male students. Seco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high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ere interest in appearance, self-esteem, school life adjustment, and family strength. The influences were self-esteem, interest in appearance, family strength,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order. In particular, interest in appearance had a negative effect on appearance satisfaction. Third, depending on the variables, the effects on appearance satisfaction differed by gender. Among the variables, self-esteem and appearance satisfaction affected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school life adjustment for girls and family strength for boys were found to affect their appearance satisfaction. Conclusions In order to improve the appearanc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fforts should be made to increase self-respect and adjust the level of interest in appearance to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lso, a more focused approach to school life adaptation is required for girls and a more focused approach to family strength for boy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nfluencing Factors of Willingness to Teach amo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 Minority Area in China
- 초등학교 저학년의 지능, 행동문제, 학업성취 관계에서 행동문제의 매개효과 및 집행기능의 조절효과
- 비대면 원격수업에서 D-PBL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예비유아교사 대상 「유아교과 논리 및 논술」 과목 운영의 어려움과 개선방안
-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대학생 진로인식 및 진로탐색행동과 요구도 분석
- COVID-19로 비대면 학기를 경험한 대학생의 학교소속감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접근-회피동기의 조절효과
- 대학생의 학습동기, 핵심역량, 메타인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모형 검증
- 성악전공 대학생의 공연불안과 공연성취와의 관계에서 대처전략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현실비행이 사이버비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배움공동체 이해
- 모델링 기반 탐구 활동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 학교현장실습에서 예비 역사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예비유아교사 비대면 수업 경험 탐구
- 영유아의 일상 및 외상 후 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 국내연구 동향 분석
-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음식갈망을 매개로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과학 탐구 수업을 위한 중학교 과학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변화와 특징
- 예비영어교사들의 창의적 수업역량 계발을 위한 수업방법 지도 방안
-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이 사회적 자본과 교사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대학의 온라인 수업에서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과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학교현장에서 에듀테크(Edu Tech)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 STEAM 기반 중학교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헤어 과정평가형제도를 통한 미용인의 기술 전문성과 인성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SBAR를 활용한 건강사정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명확성, 의사소통자신감,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보조사 ‘까지, 조차, 마저’의 교육 방안 연구
- 학습자 배움중심교육을 위한 학습권 실현 조건 탐색
- 동화를 활용한 질문중심의 하브루타 수업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 연구 동향(1991-2020)
-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및 교수역량 강화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23호 목차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자살 및 자해 상담 교육프로그램 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 스마트폰 의존이 학업성취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유⋅초 연계 관점에서 본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1학년 교육과정에 나타난 놀이 실행 비교
- 코로나 19(COVID-19) 상황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유아 극놀이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근로자의 건강증진프로그램 참여가 혈액변인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초등교사의 수학영재수업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안 분석
- 개업상담자의 초기 운영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핵심덕목 및 핵심인성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안
- 중국 초⋅중⋅고 인공지능 교과서의 탐구 경향 분석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자립적인 노후 생활’ 단원 내용 분석
- 오감요리활동이 영아의 놀이성과 식태도 및 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 대학생의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Grit 간의 관계
- 특수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자기수용과 타인수용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예측모형 연구
- 몽골 전문대학의 온라인 수업 교수역량 요구분석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외모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인지적 유연성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관계
- 교양영어와 예술교과의 융복합 사례 연구
- 고등학생의 디지털 글쓰기에 대한 인식 양상 분석
- 가상현실과 증강현실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태도 및 교육적 활용
- 남자 중학생의 성(性)에 관한 인식 연구
-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게임조절력의 관계
- 블랜디드 러닝 형식의 문제기반학습(PBL)을 적용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수업 운영효과에 관한 연구
-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예측요인 탐색
- 우울한 성인의 자살사고에 관한 구조모형
- COVID-19 상황에서 일 개 대학의 실시간 화상 온라인 시험에 대한 성별, 연령, 시험응시지역에 따른 만족도 분석
- 성소수자와 직접적인 접촉경험1)이 있는 비성소수자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IPA 분석을 통한 대학 모델과(科) 교육서비스품질 명료화(明瞭化)
- Filling the Gap between Active and Passive Word Knowledge with the Focus on Colligation
- 예비체육교사 표현영역 전문성 함양을 위한 통합적 수업의 실행연구
-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문상담교사의 학교상담 경험 탐색
- 가부장적 사회에서 모녀 상담자의 자기실현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체계적 문헌 고찰을 활용한 네트워크 역량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덴마크 폴케호이스콜레(Folkehøjskole) 교육모델 분석 : 그룬트비의 교육사상 기반 평생교육 미래방향 탐색
- 원자력 발전, 근대화 담론, 그리고 사회-물질적 연결망의 학습 : 산업화 세대 원전 지지자들의 원전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