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직업기초능력 변화와 교육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용수 569
- 영문명
- A Stud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Changes about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and Relation of Student Teaching Satisfaction Level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수임(Soo-Im Kim)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2호, 113~12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 간의 차이와 교육실습만족도와의 관련성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재학 중인 유아교육과 학생 134명을 대상으로 실습 전 ·후에 직업기초능력 설문지를 사전, 사후 실시하였고, 실습만족도 설문지는 실습 후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9년 5월 1일 부터 7월 10일 이었다. 연구결과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은 직업기초능력 하위 6개 영역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실습 만족도 상위 집단은 하위집단에 비해 의사소통능력을 제외한 직업기초능력 수준에 대한 인식이 유의하게 변화하였다. 실습만족도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의 교육실습 전·후 인식 차이는 문제해결능력에서 가장 컸으며, 실습만족도 중 실습제도에 대한 만족도는 모든 직업기초능력 영역의 인식 변화에 가장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of which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e and post student teaching and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and student teaching satisfaction. To this end, 134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asked pre and post questionnaires for the vocational competencies. And student teaching satisfaction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fter student teach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1th to July 7th 2019. Studies have shown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before and after student teaching in all six areas of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Groups with highly satisfied in student teaching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the level of vocational basic skills, excluding communication skills, compared to lower groups. The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student teaching has shown a significant increase in awareness of one s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compared to the lower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experience perception of the upper and lower groups of students was the biggest i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e satisfaction of the student teaching system among the student teaching satisfaction level was found to be the factor that most positively influences the change of perception at all levels of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성, 대인관계, 상담활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구조적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특기병의 가족건강성과 군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사회정의 관심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사회정의 지지와 사회정의 장애의 조절효과
- 관광기업 구성원의 잡스케이프와 조직애착 간의 관계
- 유아 부모교육 연구 주제의 시대적 분석
- 애도경험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일상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서행동 특성에 미치는 효과
- 교사를 위한 자연친화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저널치료를 통한 청소년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건강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 상담자 전문성 발달과 상담교육 실태에 관한 고찰
- 한국판 자살생각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 교사에 의해 지각된 학교 성범죄 문화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 농촌 노인의 일상생활과 우울의 관계
-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직업기초능력 변화와 교육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감정노동자의 셀프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1호 목차
-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