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건강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293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Infant Health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정미(Jeoung-Mi Kim) 임상도(Sang-Do Rim)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2호, 241~25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건강 관련 연구동향을 1974년부터 2019년 9월까지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유아건강 관련 논문 124편을 5년 단위로 연도별, 연구방법별, 연구대상별, 연구내용별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2차에 걸친 자료수집에 이어 예비연구, 본 연구, 자료 분석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건강 관련 전체적인 연구동향은 2005-2009년대 이후부터 연구편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조사연구를 중심으로 한 양적연구가 다수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학부모, 유아, 유아교사 순으로 편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내용은 유아건강관련 변인, 건강교육, 건강기초 순으로 편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건강 관련 연구는 유아교육 유사학문과 협력연구를 통하여 연구방법, 대상, 내용을 확대하여야 할 것과 유아건강에 대한 의학적 연구를 유아교육적 차원으로 해석하여 유아교육 현장에 도입하고 한의학, 대체의학, 민간의학, 응급처치 등에 대한 의학적 지식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후속연구로는 유아건강을 예방적 차원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유아건강철학의 연구, 질적연구 및 임상적 연구를 포괄하는 연구방법의 다양화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sis the trends on infant health related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 from 1974 to September 2019 by year, method, study subjects, and research contents. A total of 124 research papers were found in five years basis. In secondary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conducted based on primary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research trends on infant health related research has been increased during the year of 2005-2009. Most of the research method were quantitative and survey. The selected subjects were parent, infant and day care teachers. Majority of the research contents were related to infant health based on health and health education. All of the studies sugges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xpanding the research methods, subjects and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ooperative research.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o introduce innovative researches in the field of medicine, oriental medicine, emergency and first-aid related to infant health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tudy recommended the diversification of preventive aspects of research methods, qualitative and clinical studies in order to improve infant health awareness in all the dire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성, 대인관계, 상담활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구조적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특기병의 가족건강성과 군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사회정의 관심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사회정의 지지와 사회정의 장애의 조절효과
- 관광기업 구성원의 잡스케이프와 조직애착 간의 관계
- 유아 부모교육 연구 주제의 시대적 분석
- 애도경험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일상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서행동 특성에 미치는 효과
- 교사를 위한 자연친화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저널치료를 통한 청소년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건강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 상담자 전문성 발달과 상담교육 실태에 관한 고찰
- 한국판 자살생각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 교사에 의해 지각된 학교 성범죄 문화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 농촌 노인의 일상생활과 우울의 관계
-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직업기초능력 변화와 교육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감정노동자의 셀프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1호 목차
-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