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이용수  0

영문명
Single Case Study of Art Psychotherapy for an Individual with Adventitious Visual Impairment
발행기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저자명
이영 최명선
간행물 정보
『예술심리치료연구』제21권 제2호, 191~21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단일사례연구로 예술심리치료를 통해 참여자가 경험한 심리적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예술심리치료가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참여자는 시각장애인이 된 지 2년이 된 중년여성으로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 판정을 받은 후천적 시각장애인이다. 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은 2020년 6월 25일부터 2020년 10월 22일까지 주 2회, 총 27회 실시하였으며, 1회 추수 상담하여 마무리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치료녹음 전사, 연구자 일지, 참여자의 감정 일기, 작품 사진 등으로 단일사례에 관한 이해와 의미 형성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는 연구자와의 신뢰 있는 치료적 관계를 통해 안정감을 가지고 예술심리치료에 적극적으로 임하였다. 둘째, 예술심리치료에서 자유로운 자기표현을 통해 억압된 부정적 감정과 긍정적 감정을 표현하며 자기 이해를 높였다. 셋째, 다양한 예술 매체를 선택함에 따라 새로운 시도를 하여 자율성과 창조성을 회복하였다. 넷째, 예술심리치료 과정을 통해 긍정적인 사고와 태도의 변화를 보였다. 다섯째, 예술심리치료 과정에서 만든 예술 작품과 감정 일기를 일상으로 가지고 와 삶의 질을 높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예술심리치료가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후천적 시각장애인이 장애 초기에 겪었을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이해를 돕고,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single case study of an individual with adventitious visual impairment, examining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change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nt through art psychotherapy and exploring the impact of art psychotherapy. The participant is a middle-aged woman who has been visually impaired for two years and has an adventitious visual impairment classified as less severe. The art psycho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from 25 June 2020 to 22 October 2020, for a total of 27 sessions, and concluded with a follow-up consultation. The collected data, including transcriptions of therapy recordings, researcher journals, participants' emotional diaries, and photographs of artworks, were analyz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and meaning making of a single case. First, the participant felt secure in the trusting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the researcher and actively engaged in art psychotherapy. Second, the participant expressed repressed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s through free self-expression in art psychotherapy and improved self-understanding. Third, the participants regained their autonomy and creativity by making new attempts in choosing different artistic media. Fourth, the participants showed changes in positive thinking and attitudes through the art psychotherapy process. Fifth, they improved their quality of life by incorporating the artworks and emotional diaries created in the art psychotherapy process into their daily lives.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at an individual with adventitious visual impairment and less severe disabilities may have experienced in the early stages of their disability and provided a basis for program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Ⅱ.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최명선. (2025).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21 (2), 191-216

MLA

이영,최명선.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21.2(2025): 191-2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