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저널치료를 통한 청소년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640
- 영문명
-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elf-Understanding of Youth in Journal Therapy Programs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장정인(Jeong-In Jang) 강금해(Keum-Hae Kang)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2호, 271~28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저널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소년들의 자기이해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중·고생으로 구성된 13명의 청소년들과 함께 저널쓰기를 한 후,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청소년들의 자기이해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저널치료를 통한 청소년들의 자기이해 경험’을 주제로 한 연구결과는 저널쓰기의 의미, 자신의 꿈에 대한 이해, 감정에 대한 이해, 관계에 대한 이해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결과, 저널쓰기를 통해 청소년들은 자신을 성찰하며 자기를 이해함으로써 자신의 꿈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자신의 감정표현에 어려움을 느끼지만 이를 극복함으로써 더 나은 청소년기를 보내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친구관계의 소중함과 부모님과의 관계에 대해 되돌아보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저널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들이 자신을 더 깊이 이해하고 사랑하게 됨으로써 앞으로의 삶의 주인공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depth understanding of self-understanding experiences of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journal therapy program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fter letting 1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rite journal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self-understanding experiences of the teenagers phenomenologically. The research results on the subject of the self-understanding of youth through journal therapy were categorized into the meaning of journal writing, understanding of their dreams, understanding of emotions, and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youths are thinking about their dreams by reflecting on themselves and understanding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journal writing.
In addition, although they were having difficulties in expressing their emotions, they hoped to overcome it and have a better youth. Lastly, it was found that they were looking back on the importance of friendship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Through the journal therapy program, young people can understand and love themselves in a deeper way, and they will be able to serve as the main characters of their future liv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성, 대인관계, 상담활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구조적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특기병의 가족건강성과 군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사회정의 관심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사회정의 지지와 사회정의 장애의 조절효과
- 관광기업 구성원의 잡스케이프와 조직애착 간의 관계
- 유아 부모교육 연구 주제의 시대적 분석
- 애도경험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일상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서행동 특성에 미치는 효과
- 교사를 위한 자연친화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저널치료를 통한 청소년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건강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 상담자 전문성 발달과 상담교육 실태에 관한 고찰
- 한국판 자살생각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 교사에 의해 지각된 학교 성범죄 문화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 농촌 노인의 일상생활과 우울의 관계
-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직업기초능력 변화와 교육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감정노동자의 셀프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1호 목차
-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