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이용수 814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tigma and living satisfaction level of the School Dropout Youth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성경주(Gyeong-Joo, Seong) 김석범(Suk-Bum Kim)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2호, 305~31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업중단 청소년이 경험하는 정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사회적 낙인감, 부모애착, 생활 만족도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이하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의 패널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5차년도 315명을 분석하였다. 첫째, 청소년들이 학업 중단 후 다양한 심리적 위기 중 사회적 낙인감은 전반적인 생활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업중단 후 부모와의 애착관계에 따라서 생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업중단 청소년이 경험하는 사회적 낙인감은 부모애착을 매개로 전반적인 생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parental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variables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emotions experienced by School Dropout Youth on quality of life. To that end, panel survey data from the Research on Juvenile Panel for Aborting Edu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esearch on Juvenile Panel for Aborting Education )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sed. First, social stigma among various psychological crises after youth stopped studying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overall living satisfa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t c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level of living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attachment relationship with parents after School Dropout Youth.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stigma experienced by adolescents who stopped studying can have a positive impact on overall living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um of parental attachmen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성, 대인관계, 상담활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구조적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특기병의 가족건강성과 군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사회정의 관심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사회정의 지지와 사회정의 장애의 조절효과
- 관광기업 구성원의 잡스케이프와 조직애착 간의 관계
- 유아 부모교육 연구 주제의 시대적 분석
- 애도경험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일상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서행동 특성에 미치는 효과
- 교사를 위한 자연친화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저널치료를 통한 청소년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건강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 상담자 전문성 발달과 상담교육 실태에 관한 고찰
- 한국판 자살생각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 교사에 의해 지각된 학교 성범죄 문화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 농촌 노인의 일상생활과 우울의 관계
-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직업기초능력 변화와 교육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감정노동자의 셀프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1호 목차
-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