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서행동 특성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321
- 영문명
-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n Emotional/Behavioral Traits of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양은향(Eun-Hyang Yang) 양종국(Jong-Kuk Yang)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2호, 127~14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 원예치료를 통해서 고등학생들의 정서행동특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고등학생들의 생활지도 및 심리안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경기도 I지역의 A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 중 2017학년도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 결과에서 관심군 학생 15명중 참여를 동의 한 여학생 9명을 선정하여 5주 동안 주 2회씩 총10회기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평균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대응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이 자신의 감정, 느낌, 욕구를 적절하게 표현하게 하는 전체 정서행동특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되었고, 둘째, 청소년들의 정서. 행동특성의 하위요인의 심리적 부담감, 기분문제, 불안문제, 자기통제부진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되었다. 본 연구는 관심군에 해당되는 여학생 9명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traits of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for high school students guidance and psychological st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mong the 1st year students at A High School in Gyeonggi-do I region, 15 students are known to have a concern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result of AMPQ done in 2017. 9 out of 15 students were selected to undergo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after having the consent. For 10 times twice a week over five weeks,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and after have gone through Paired T-test after gaining the average of pre-test and pos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made students express their emotions and feelings positively and the emotional/behavioral traits to express one s desire have shown a positive change statistically. Second, the subscales of Youth s emotional/behavioral traits-psychological burden, mood problem, anxiety problem, self-control slack- has changed meaningfully according to the statistics. This study analyzed only 9 nine girls and therefore hard to generalize the result.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성, 대인관계, 상담활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구조적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특기병의 가족건강성과 군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사회정의 관심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사회정의 지지와 사회정의 장애의 조절효과
- 관광기업 구성원의 잡스케이프와 조직애착 간의 관계
- 유아 부모교육 연구 주제의 시대적 분석
- 애도경험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일상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서행동 특성에 미치는 효과
- 교사를 위한 자연친화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저널치료를 통한 청소년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건강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 상담자 전문성 발달과 상담교육 실태에 관한 고찰
- 한국판 자살생각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 교사에 의해 지각된 학교 성범죄 문화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 농촌 노인의 일상생활과 우울의 관계
-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직업기초능력 변화와 교육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감정노동자의 셀프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1호 목차
-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