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이용수 429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paration for Old Age and Happines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강애연(Ae-Yeon Kang) 황인옥(In-Ok Hwang)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2호, 171~18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B광역시와 K도에 소재한 직장인과 은퇴자,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1955년생부터 1963년생인 베이비붐 세대 3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 사회적 자본, 행복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하위변인에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에서 행복감으로 가는 직접경로와 노후준비가 사회적 자본을 매개로 하여 행복감으로 가는 간접경로가 모두 유의하였다. 이에 본 연구결과에 대한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re factors such as the preparation for old age, happiness, and social capital of the baby boom gener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0 baby boom generation, mostly workers, retirees, self-employed who were born between 1955 and 1963, in B-city and K-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ch correlation between preparation for old age, social capital, and happiness was significant. Second, the social capital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paration for old age and happiness. That is, there are significant effects in both the direct path from preparation for old age to happiness and the indirect path from preparation for old age to happiness through social capital.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건강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저널치료를 통한 청소년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상담자 전문성 발달과 상담교육 실태에 관한 고찰
-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구조적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 애도경험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사회정의 관심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사회정의 지지와 사회정의 장애의 조절효과
-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직업기초능력 변화와 교육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대학생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일상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감정노동자의 셀프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
- 관광기업 구성원의 잡스케이프와 조직애착 간의 관계
- 특기병의 가족건강성과 군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교사를 위한 자연친화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교사에 의해 지각된 학교 성범죄 문화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 유아 부모교육 연구 주제의 시대적 분석
-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청각장애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성, 대인관계, 상담활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 한국판 자살생각 척도의 타당화 연구
-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서행동 특성에 미치는 효과
- 농촌 노인의 일상생활과 우울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