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담자 전문성 발달과 상담교육 실태에 관한 고찰
이용수 2,760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unselor professionalism and the actual condition of counseling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최현국(Hyun-Kug Choi)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2호, 199~22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 전문성 발달에 관한 다양한 연구문헌의 내용을 개관하고 상담자 전문성 발달의 핵심요소와 상담자 교육의 실태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기존의 상담자 전문성 발달 연구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고 상담자 발달연구의 흐름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에 있어서 ‘의도된 집중적 훈련’과 ‘성찰적 인식’이 핵심기제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 전문성 발달 모델은 장기적인 종단 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해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을 위해서는 단순히 지식과 기술역량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인지, 정서, 관계 능력의 통합적인 발달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상담자 발달에 대한 문헌연구 내용을 우리나라 대학원 석사과정 및 박사과정에서 상담과목 교육 실태와 비교 분석한 결과, 대부분 교과목은 이론적 지식 습득차원에 치중되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상담자들이 좀 더 정확하고 체계적인 교육 환경에서 상담자의 통합적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법과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reviewing various empirical literatures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ounselors, and to evaluate the Korean counseling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m.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the counselor s professional development.
As a result, First, the counselor professional development model need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through long-term longitudinal and qualitative research. Second, it was found that not only knowledge and technical competencies are important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ounselors, but also the integrated development of cognition, emotion, and relationship ability.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iteratur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ounselors with the current status of counseling courses in the master s and doctoral programs in Korea, most of the graduate courses were focused on theoretical knowledge acquisition, and practical education was not enoug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제언 및 추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성, 대인관계, 상담활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구조적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특기병의 가족건강성과 군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사회정의 관심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사회정의 지지와 사회정의 장애의 조절효과
- 관광기업 구성원의 잡스케이프와 조직애착 간의 관계
- 유아 부모교육 연구 주제의 시대적 분석
- 애도경험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일상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서행동 특성에 미치는 효과
- 교사를 위한 자연친화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저널치료를 통한 청소년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건강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 상담자 전문성 발달과 상담교육 실태에 관한 고찰
- 한국판 자살생각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 교사에 의해 지각된 학교 성범죄 문화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 농촌 노인의 일상생활과 우울의 관계
-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직업기초능력 변화와 교육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감정노동자의 셀프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1호 목차
-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