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구조적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659
- 영문명
- Mediating effect of Job-seekers’ accidental response skil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ir career barriers an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최태호(Tea-ho Choi) 박미숙(Mi-Sook Park)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2호, 345~35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취업준비생의 진로장벽이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소재 한국폴리텍대학의 취업준비생 24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취업준비생의 진로장벽은 우연대처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과 유의한 부적상관, 우연대처기술,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 구조모형은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고,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우연대처기술은 매개효과가 없었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완전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진로장벽을 지각하는 취업준비생의 성공적인 진로준비행동을 돕기 위해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향상을 도모해야 함을 확인하였고, 상담에서 취업준비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돕는 방안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n which job-seekers’ career barriers have effects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y using their accidental response skills and thei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s a mediator,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s. To that end, 245 job seekers in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in Seoul and Seoul metropolitan areas were surveyed to acquire the relevant data.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job-seekers’ career barrie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ccidental response skills,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hile accidental response skill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mselve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structural model in which accidental response skil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ediate showed a good fit. In terms of mediating effects of accidental response skil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idental response skills had no mediating effec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full mediating effects, and accidental response skil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completely double mediating effect.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rovement of accidental response skil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uld be promoted to help successful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job-seekers who perceive career barriers. Also, consultations provided a way to help job-seek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성, 대인관계, 상담활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구조적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특기병의 가족건강성과 군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사회정의 관심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사회정의 지지와 사회정의 장애의 조절효과
- 관광기업 구성원의 잡스케이프와 조직애착 간의 관계
- 유아 부모교육 연구 주제의 시대적 분석
- 애도경험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일상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서행동 특성에 미치는 효과
- 교사를 위한 자연친화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저널치료를 통한 청소년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건강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 상담자 전문성 발달과 상담교육 실태에 관한 고찰
- 한국판 자살생각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 교사에 의해 지각된 학교 성범죄 문화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 농촌 노인의 일상생활과 우울의 관계
-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직업기초능력 변화와 교육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감정노동자의 셀프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1호 목차
-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