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감정노동자의 셀프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21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er s Self-Leadership on Mindfulness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지명원(Myong-Won Chi) 이주연(Ju-Yeon Le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2호, 43~5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감정노동자인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마음챙김을 긍정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한 셀프리더십의 강화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264부의 자료는 PASW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측정도구의 신뢰도, 타당도,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셀프리더십의 3개 하위요인인 행동적 중심전략, 자연적 보상전략, 건설적 사고전략은 각각 마음챙김에 모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자인 보육교사의 마음챙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셀프리더십의 영향력이 검증되었으므로 감정노동자의 마음챙김을 높일 수 있도록 셀프리더십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attempted to strengthen self-leadership to positively improve mindfulnes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emotional worker’s self-leadership on mindfulness.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The PASW 23.0 program was used to collect 264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and general characteristics, reliability of measurement tools,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hre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the behavior-focused strategy, the natural reward strategy, and the constructive thought pattern strategy, each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indfulness. Since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has been verified as a factor influencing the mindfulness of the child-care teachers who are emotional laborer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elf-leadership to increase the mindfulness of emotional labor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성, 대인관계, 상담활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구조적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특기병의 가족건강성과 군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사회정의 관심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사회정의 지지와 사회정의 장애의 조절효과
- 관광기업 구성원의 잡스케이프와 조직애착 간의 관계
- 유아 부모교육 연구 주제의 시대적 분석
- 애도경험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일상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서행동 특성에 미치는 효과
- 교사를 위한 자연친화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저널치료를 통한 청소년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건강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 상담자 전문성 발달과 상담교육 실태에 관한 고찰
- 한국판 자살생각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 교사에 의해 지각된 학교 성범죄 문화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 농촌 노인의 일상생활과 우울의 관계
-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직업기초능력 변화와 교육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감정노동자의 셀프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1호 목차
-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