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Community Dialogue through Playback Theatre on Participants’ Social Connectedness and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남궁지숙 송현성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21권 제2호, 145~16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현대 사회에서 개인화된 생활 양식과 관계 밀도의 약화는 사회적 고립을 심화시키고 있으며, 이는 개인의 삶의 질 저하와 공동체 통합성의 약화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즉흥 연극 기법인 플레이백 씨어터(playback theatre)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 경험이 참여자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문화교육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플레이백 씨어터 프로그램 참여자 세 그룹(28명)을 대상으로 혼합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사회적 유대감 및 자기효능감 척도를 활용한 사전-사후 대응 표본 t 검정과 더불어, 매 회기 종료 후 참여자 진술을 토픽모델링 기법으로 분석하였다. 양적 분석 결과, 프로그램 참여 후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트 마이닝 분석에서는 참여자들이 ‘자기감정의 수용’, ‘있는 그대로의 자기존중’, ‘심리적 전환’, ‘감정해방’ 등 긍정적 정서 경험을 보고하며, 공동체 내 상호작용이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의 자원이 되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감이 심화된 현대 사회에서, 플레이백 씨어터가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을 증진하는 문화예술 기반 개입 방안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In contemporary society, increasingly individualized lifestyles and weakened social ties have exacerbated social isolation, impacting individual well-being and community cohes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ommunity dialogue through Playback Theatre on participants' social connectedness and self-efficacy. Using a mixed-methods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participant groups (N = 28) in a program under the Seoul Cultural Education Support Project. Pre- and post-program assessments were analyzed with paired-sample t-tests, and verbal reflections were examined via topic modeling.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oth social connectedness and self-efficacy. Participants expressed emotional acceptance, self-respect, psychological change, and emotional release, suggesting that communal interactions were vital to these outcomes. The findings support Playback Theatre’s potential as a culture and arts-based intervention for enhancing psychological and social resilience in increasingly isolated socie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지장애 노인의 유튜브 기반 예술치료 참여에 따른 개인별 심리 및 생리 반응 분석
- 병원 조직문화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경험 탐색 : 예술기반연구
-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인의 노화불안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모-자 대상 미술치료 국내 연구 동향 : 2001-2024년 국내 논문을 중심으로
-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의 미술치료 단일사례연구 : 분노와 우울을 중심으로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회상중심 집단통합예술치료가 요양병원 입원 노인의 우울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사례연구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