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36
- 영문명
-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potential aggression: Mediating effect of suppressing anger and expressing emotion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류혜진(Hye-Jin Ryu) 백승화(Seung-Hwa Baek)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2호, 141~15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분노 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이 내면화된 수치심과 전위 공격성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확인하고, 각 변인간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도권과 강원도에 거주하는 성인 212명을 대상으로 각 변인들을 측정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각 측정 변인 간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 측정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구조모형을 분석하였고, 팬텀변수를 활용하여 매개효과의 상대적 크기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변인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분노억제와 정서표현양가성을 매개로 하여 전위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섯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분노억제를 매개로 하여 정서표현 양가성에 영향을 미치고 정서표현 양가성은 전위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분석 결과를 통해 매개모형 검증의 의미와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potential aggression, to check whether anger suppression and emotional expressing emotion .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12 adult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Gangwon Province using a measure of each variabl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nd conformity of measurement model were verified, the structural model was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and the relative size verification of the mediated effect was carried out using the phantom variab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all the variable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nternalized shame affects potential aggression through the medium of anger suppression and emotional expression. Third, internalized shame was shown to affect the ambivalence of emotional expression by using anger suppression as a medium, and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affects potential aggression. Subsequent analysis results discussed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parametric model verification a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성, 대인관계, 상담활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구조적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특기병의 가족건강성과 군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사회정의 관심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사회정의 지지와 사회정의 장애의 조절효과
- 관광기업 구성원의 잡스케이프와 조직애착 간의 관계
- 유아 부모교육 연구 주제의 시대적 분석
- 애도경험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일상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서행동 특성에 미치는 효과
- 교사를 위한 자연친화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저널치료를 통한 청소년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건강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 상담자 전문성 발달과 상담교육 실태에 관한 고찰
- 한국판 자살생각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 교사에 의해 지각된 학교 성범죄 문화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 농촌 노인의 일상생활과 우울의 관계
-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직업기초능력 변화와 교육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감정노동자의 셀프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1호 목차
-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