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에 의해 지각된 학교 성범죄 문화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이용수 162
- 영문명
- A Qualitative Research on Cultural Factors of Sexual Offenses in School Recognized by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문현실(Hyun-Shil Mun)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2호, 97~11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가 지각한 학교 내의 성범죄 발생요인을 탐색하고, 학교 성범죄 근절을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서울시에 재직 중인 교사들 가운데 성범죄 사안을 처리해 본 경험이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Colaizzi의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학교 내에 존재하는 교사들만의 특유한 문화와 학생 간의 문화가 성범죄의 발생요인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교사문화는 첫째, 가부장적 가치관을 가진 사람이 관리자이거나 상급 교사인 경우 성범죄에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무실의 순응적 서열주의 문화와 비합리주의는 성범죄에 우호적인 문화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의 승진을 위한 순응적 태도, 상명하복의 태도 등은 성범죄에 친화적인 환경으로 드러났다. 학생문화는 대인관계, 성인식 및 교육, 그리고, 학교 급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학교는 성범죄 예방을 통한 안전한 학교문화와 정착을 위한 개선방안과 실효성 있는 교육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occurrence factors of sexual offenses in school recognized by teachers and search an improvement plan to eradicate sexual offenses in school. According to thi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 targeting teachers in Seoul who have dealt with sexual offenses, analyzing them with Colaizzi’s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unique culture of teachers and the culture among students proved to be the occurrence factors of sexual offenses in school. First of all, as for the culture of teachers, it is not safe for sexual offenses to have a supervisor or a senior teacher with patriarchal values. Second, pliable rankism and irrationalism in teachers’ room is favorable to sexual offenses. Third, obedient attitudes of teachers for promotion and vertical culture of decision-making and following make a friendly culture for sexual offenses. When it comes to a culture of students, it varies depending on personal relationship, recognition and education of sex and school level. The result of research prove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an improvement plan and a realistic educational policy for a safe school culture through prevention of sexual offens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성, 대인관계, 상담활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구조적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특기병의 가족건강성과 군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사회정의 관심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사회정의 지지와 사회정의 장애의 조절효과
- 관광기업 구성원의 잡스케이프와 조직애착 간의 관계
- 유아 부모교육 연구 주제의 시대적 분석
- 애도경험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일상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서행동 특성에 미치는 효과
- 교사를 위한 자연친화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저널치료를 통한 청소년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건강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 상담자 전문성 발달과 상담교육 실태에 관한 고찰
- 한국판 자살생각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 교사에 의해 지각된 학교 성범죄 문화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 농촌 노인의 일상생활과 우울의 관계
-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직업기초능력 변화와 교육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감정노동자의 셀프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1호 목차
-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