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판 자살생각 척도의 타당화 연구
이용수 1,368
- 영문명
-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uicidal Ideation Inventory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용민(Yong-Min Kim) 장성화(Sung-Hwa Jang)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7권2호, 331~34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판 자살생각 척도를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척도는 자살과 관련된 주요 요인인 자살사고, 우울감, 무망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척도는 자기보고식으로 되어 있다.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20세 이상의 남녀 1,060명을 대상으로 연구절차를 설명한 후 진행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요인 18문항으로 추출되어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를 확인했다. 최대우도법과 직접 오블리민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인적재량은 .55-.93이, 교차적재량은 .32 이상이 없었고, 공통성은 .46-.65로 나타났다. 또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절대적합지수인 CMIN/DF는 4.936, GFI는 .935, RMSEA는 .061이 나왔으며, 증분적합지수는 NFI, CFI, IFI, TLI는 각각 .950, .959, .959, .953로 나타났다. 수정모델에서는 CMIN/DF가 2.718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향상되었고, 다른 값들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자살관련 주요 요인을 타당화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uicidal ideation inventory. This inventory consists of suicidal thoughts, depression, and hopelessness, the main factors related to suicide, and each scale is self-report.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060 men and women over the age of 20 across the country, and 18 items of 3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factor structure was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and direct oblimin, the factor loading was .55 ~ .93, the cross loading was no more than .32, and the commonality was .46 ~ .65. As a result of confirming factor analysis, the absolute fit indexes, CMIN/DF was 4.936, GFI was .935, and RMSEA was .061. The incremental conformance indexes, NFI, CFI, IFI, and TLI were .950, .959, .959, and .953, respectively. In the modified model, CMIN/DF improved to 2.718, and other values showed significant chang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caled the major factors related to suicide among Korea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 사회성, 대인관계, 상담활동에 대한 태도의 차이
-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구조적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특기병의 가족건강성과 군생활 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사회정의 관심과 진로장벽의 관계에서 사회정의 지지와 사회정의 장애의 조절효과
- 관광기업 구성원의 잡스케이프와 조직애착 간의 관계
- 유아 부모교육 연구 주제의 시대적 분석
- 애도경험이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이 일상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 원예치료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정서행동 특성에 미치는 효과
- 교사를 위한 자연친화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병영생활 전문상담관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내면화된 수치심이 전위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저널치료를 통한 청소년들의 자기이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건강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 상담자 전문성 발달과 상담교육 실태에 관한 고찰
- 한국판 자살생각 척도의 타당화 연구
-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 교사에 의해 지각된 학교 성범죄 문화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 농촌 노인의 일상생활과 우울의 관계
- 교육실습 전·후 예비유아교사의 직업기초능력 변화와 교육실습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감정노동자의 셀프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1호 목차
-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