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ear of Crime Empathy and Violent Victimization among Police Officers: A Logistic Regression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김동록(DongRok Kim) 배병준(ByeongJun Bae)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1권 제3호, 27~4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경찰조직의 직무위험 관리와 공감성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가 범죄피해자 지향성이나 직무만족 등 태도적 성과에 집중해온 것과 달리, 이 연구는 실제 폭력피해 경험이라는 행동적 결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공감성과의 관계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경찰청 소속 경찰관 316명으로, 유의적 표집과 편의표집을 병행하여 표본을 확보하였다.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은 정서적·인지적·태도적 공감의 세 하위요인으로 측정되었으며, 폭력피해 경험은 0(없음), 1(있음)으로 코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서적 공감과 인지적 공감은 폭력피해 경험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태도적 공감은 폭력피해 경험과 정(+)적 관계를 나타내어, 태도적 공감 수준이 높을수록 폭력피해를 경험할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통제변수 가운데 학력은 폭력피해 경험을 낮추는 요인으로, 근무기간은 피해 경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감성이 반드시 긍정적 직무자원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유형의 공감은 오히려 위험 노출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공감성을 위험관리 관점에서 재해석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공감성 교육훈련의 내용 재구성, 근무경력별 맞춤형 안전 지원, 학력 및 교육훈련을 통한 위험관리 역량 제고 등 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police officers’ fear of crime-related empathy on their experiences of violent victimization, with the aim of providing both theoretical insight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occupational risk management and empathy training in police organizations. Unlike previous research that mainly focused on attitudinal outcomes such as victim orientation or job satisfaction, this study uniquely addressed violent victimization as a behavioral outcome variabl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16 police officers affiliated with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selected through purposive and convenience sampling. Fear of crime-related empathy was measured across three sub-dimensions—emotional, cognitive, and attitudinal empathy—while violent victimization was coded as a binary variable (0 = no, 1 = y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emotional and cognitive empathy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violent victimization. In contrast, attitudinal empathy showed a positiv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dicating that higher levels of attitudinal empathy were linked to an increased likelihood of experiencing violent victimization. Among the control variables, education level was negatively related to victimization, whereas longer service year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victimization experienc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mpathy does not always function as a protective occupational resource; rather, specific types of empathy may increase police officers’ exposure to risk.
The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reconsidering empathy from a risk management perspective within police work. Practical implications include the redesign of empathy training programs with differentiated approaches for each dimension, the implementation of tailored safety support for officers with longer service years, and the enhancement of occupational risk management competencies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and training.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 노인의 디지털역량이 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 - 퍼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경찰 징계 적정화에 관한 논의 : 소청심사 결정을 중심으로
-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고립에 미치는 요인탐색: 집단괴롭힘, 부모양육태도,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피의사실공표죄 사문화 현상의 범죄심리학적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심리지원의 현황과 개선 전략 - 딥페이크 사례를 중심으로
- 지방의원의 행동강령 현황과 개선 방안 : 합리적 선택이론을 중심으로
- 가족과 친구애착이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성비행 의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 오픈채팅 분석을 중심으로
- 범죄 전력과 범죄율이 관찰자의 양형 판단에 미치는 영향: Kelly의 공변 모형을 적용한 귀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