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ncept of Cognitive Warfare in the Context of Hybrid Threats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김은영(Eunyoung Kim) 윤민우(Minwoo Yun)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21권 제3호, 41~6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하이브리드 전쟁 또는 하이브리드 위협에 대한 논의와 관심이 커졌다.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의 인지전 위협은 서구자유민주주의 국가에게는 평시와 전시의 구분 없이 국가안보, 정보보안, 그리고 사이버 안보 등에 걸쳐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관련하여 해외 주요국들과 나토 같은 국제기구에서는 인지전 개념 정립을 위한 연구와 논의가 활발하다. 한국도 중국·북한 등으로부터의 하이브리드 위협과 인지전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는 인식 아래 이에 관한 학술적·정책적 논의가 최근 들어 군사, 안보, 방첩, 치안 등의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해외 주요 국가들에 비해서는 그 관심과 관련 연구와 논의의 발전이 미흡하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한국의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의 해외발 인지전 위협에 대한 대응역량강화를 위한 근간이 될 수 있는 관련 학문적 토대 구축을 위해 인지전 개념에 대한 나토와 미국의 논의를 소개하고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The outbreak of Russo-Ukraine War in 2022 triggered concerns regarding new types of warfare and threats to the international worlds, so called hybrid threats. In particular, cognitive warfare is increasingly reorganized to Western liberal democracies because its threats transcends the boundaries between wartime and peacetime, directly impacting imporatnt areas of national security by targeting the critical infrastructures of democratic systems. In response, leading nation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NATO and the U.S. have been actively engaged in research and conceptual discourse to define and conceptualize this threat as a prerequisite for effective countermeasures. In South Korea, academic and policy discussions on cognitive warfare are emerging, but remain limited in the field of police studies, despite the expanding role of police in security and cybersecuri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NATO and U.S. conceptual framework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police capabilities in responding to cognitive threats.
목차
1. 서 론
2. 진화된 심리전으로서의 인지전 개념의 등장과 하이브리드 위협의 부분으로서의 인지전 개념 발전
3. 나토의 인지전 개념
4. 미국 인지전 개념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 노인의 디지털역량이 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 - 퍼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경찰 징계 적정화에 관한 논의 : 소청심사 결정을 중심으로
-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고립에 미치는 요인탐색: 집단괴롭힘, 부모양육태도,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 피의사실공표죄 사문화 현상의 범죄심리학적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심리지원의 현황과 개선 전략 - 딥페이크 사례를 중심으로
- 지방의원의 행동강령 현황과 개선 방안 : 합리적 선택이론을 중심으로
- 가족과 친구애착이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성비행 의도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 오픈채팅 분석을 중심으로
- 범죄 전력과 범죄율이 관찰자의 양형 판단에 미치는 영향: Kelly의 공변 모형을 적용한 귀인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범죄인가 범죄화인가: 반(反)이민 프레임의 정치성과 한국의 과제
- 경찰공무원의 범죄피해 두려움 공감성이 폭력피해 경험에 미치는 영향: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중심으로
- 하이브리드 위협으로서 인지전 개념에 관한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