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교사의 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Image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소연 조부경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7권 제2호, 248~279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미지 분석을 통해 유치원 교사의 교육 인식을 유형화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가 임의표집한 유치원 교사 152명을 대상으로 그림 그리기와 그림 설명 설문지를 배부⋅ 회수한 후, 시각적 근거이론 방법으로 유형의 범주화 및 의미분석을 하고, 유형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 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에 대한 인식유형은 ‘교육과정 실천’, ‘구성원의 변화와 성장’, ‘존중과 관계 형성’, ‘환경적 지원’, ‘우리 삶의 일부’, ‘학교 제도와 운영’의 여섯 가지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세부 범주는 ‘가르침’, ‘다양한 교수 방법’, ‘학습자의 성장’, ‘모두의 성장’, ‘물리적 환경’, ‘인적 환경의 교사’로 도출되었 다. 둘째, 인식유형의 의미분석을 통해 교사의 교수 행위, 교육의 지향성, 구성원 간 관계, 교육환경의 역할, 삶과 얽힌 교육의 본질, 교육제도의 기능 등 다양한 관점에서 교육에 대한 인식이 드러남을 확인하였다. 다수의 교사는 교육을 교수 행위 중심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교육과정 실행자로서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성찰과 자기반성적 접근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교육에 대한 인식이 고정되거나 편향되지 않도록, 교사는 자신의 교육 가치관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교육적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가치관을 형성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의 다양한 관점에 대한 이해와 지속적인 고찰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and explore the meanings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of education through image analysis. A total of 152 kindergarten teachers were selected via convenience sampling and asked to draw an image representing education and provide a written explanation. Using visual grounded theory, the collected data were categorized, analyzed, and quantifi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revealed six major perception types: “curriculum practice,” “growth and development of members,” “respect and relationship building,” “environmental support,” “a part of life,” and “school system and operation.” Subcategories included teaching, diverse instructional methods, learners’ growth, shared growth, physical environment, and the teacher as human resource. The analysis showed that teachers perceive educ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instructional practices, educational goals, relationships among participants, the role of the environment, the essence of education as intertwined with life, and the function of the education system. Many teachers perceived education primarily as an instructional practice, which suggests the need for reflection and a self-reflective approach regarding the teacher's role as a curriculum implementer. In addition, to prevent educational perceptions from becoming fixed or biased, teachers should critically reflect on their own educational values and be able to flexibly shape these values according to educational contexts. This study suggest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various perspectives on education and engaging in continuous refle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랜드아트 기반 미술 활동이 유아의 미술 성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신물질론적 교수매체와 얽힌 영유아와 교사의 배움 탐구
- 유아교사의 동료 협력, 디지털 리터러시가 테크노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유치원 교사의 유아 평가 경험에 관한 의미 탐색: 공립 단설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AI 활용 경험에 따른 수업 실행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예비유아특수교사의 물질과 얽힌 미술교육 경험의 의미
- 영유아 부모의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 분석
- 유아교육에서 예술기반연구(Arts-Based Research)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유보초이음교육을 위한 교육내용 탐구: 관계적-신지식론적 관점에서
- 토픽 모델링 기반 유아교육 분야 인공지능 연구동향 분석
- 유치원 교사의 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인식 변화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