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직업대학 학생 IB 교육 기반 진로역량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Career Competency Program Based on IB Education for Students at Chinese Vocational Colleges
- 발행기관
-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 저자명
- Gong, Xiaomin 이형주
- 간행물 정보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5권 제3호, 331~35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IB 교육 이론을 기반으로 한 직업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연구 대상은 중국 산둥성 S 직업대학의 전문대 과정 2학년과 4년제 학사 과정 3학년 재학생이다.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사회 인턴십에 진입하기 전에 직업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탐구한다. 핵심 목표는 혁신적인 교육 방식을 통해 학생들이 직업 소양을 강화하고, 전문 기술 및 종합능력을 향상시켜 향후 직업 발전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며, 사회에 적합한 직업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핵심 문제는 IB 교육 이론을 기반으로 한 커리큘럼 설계와 실행을 통해, 산둥성 S 직업대학의 전문대 과정 2학년과 4년제 학사 과정 3학년 재학생들이 사회 실습에 진입하기 전에 진로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목적으로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산둥성 S 직업대학을 연구 대상으로 선택했으며, 이 대학은 중국 직업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 과정 2학년과 4년제 학사 과정 3학년 학생들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커리큘럼은 4주 동안 매주 2차시 수업으로 총 8차시, 16시간의 교육 시간을 제공하였다. 분석은 SPSS 24.0 사용하였으며, 요구분석, t-test를 통하여 그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본 연구에서는 IB 교육 기반 진로역량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개발되었으며, 프로그램 성격, 특성 및 주안점은 전문 기술 함양에 집중하면서도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팀워크, 리더십 등 소프트 스킬 향상에 중점을 둔다. 다양한 교육 방식을 통해 학생들은 실제 문제 해결 경험을 쌓고, 다가오는 사회 인턴십에 대비할 수 있는 역량을 향상할 수 있다.
둘째, IBCP 교육 핵심 요소인 개인 및 전문적인 기술, 서비스 학습, 언어 발달, 성찰 사고 역량하고 진로탐색, 진로관리 및 직업윤리라는 진로역량을 결합하여 학습자의 진로적응성, 직무 수행 능력, 의사결정능력, 직업 세계 이해 및 진로 계획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윤리에 대한 이해 측면에서는 강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실행 결과는 산둥성 S 직업대학 및 기타 고등 직업학교에 참조할 수 있는 직업 능력 향상 모델을 제공하며, 직업교육과 사회 수요 간의 밀접한 연계를 촉진할 것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졸업 후 직장 환경에 신속하게 적응할 수 있으며, 시장 경쟁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직업교육 분야의 개혁과 발전을 위한 실천적 근거와 이론적 지원을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sign and implement a vocational ability enhancement program based on IB education theory. The research subjects are second-year students from the college program and third-year students from the four-year bachelor's program at S Vocational College in Shandong Province, China. This program explores methods to effectively enhance students' vocational abilities before they enter social internships. The core objective is to strengthen students' professional literacy, improve their technical skills and comprehensive abilities through innovative educational approaches, thereby laying a foundation for their future career development and cultivating suitable vocational talents for society.
The core issue of this research is to enhance the career competencies of second-year college program students and third-year bachelor's program students at Shandong Province S Vocational College before they enter social internships, through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IB education theory.
This study selected Shandong Province S Vocational College as the research subject, as it holds a significant position in the field of vocational education in China. The study focuses on second-year college program students and third-year bachelor's program students, with the curriculum comprising 8 sessions over 4 weeks, 2 sessions per week, totaling 16 hours of instruction.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4.0, with effectiveness confirmed through needs analysis and paired t-tests of pre- and post-evaluation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career competency program based on IB education was successfully developed in this study. The program's nature, characteristics, and focus emphasize the cultivation of professional skills while also prioritizing the improvement of students' soft skills such as communication, teamwork, and leadership. Through diverse teaching methods, students gain practical problem-solving experience and enhance their competencies to prepare for upcoming social internships.
Second, by integrating the core elements of IBCP education—personal and professional skills, service learning, language development, and reflective thinking—with career competencies such as career exploration, career management, and professional ethics, the program significantly improved learners' career adaptability, job performance, decision-making skills, understanding of the professional world, and career planning in a statistically meaningful way.
However, the program did not demonstrate a strong effect on the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ethics. Nevertheless, the implementation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 referential model for enhancing vocational abilities for Shandong Province S Vocational College and other higher vocational institutions, promoting a closer connection between vocational education and societal demands. Through this program, students can quickly adapt to the workplace environment after graduation and enhance their market competitiveness. Additionally, it will provide practical evidence and theoretical support for the reform and development of vocational education.
목차
Ⅰ.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and Retention Mechanisms of the Professional Attractiveness of Rural Teachers in China
- Research on the Practical Teaching Model in Application-Oriented Universities in China
- 지역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육주체 인식 비교
- 대학생이 지각한 심리적 독립이 진로역량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과 학습몰입의 이중매개효과
- 팀 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 중국 직업대학 학생 IB 교육 기반 진로역량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의 해외 최신 동향 비교 연구
- 무전공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관한 연구
- 초․중등 신규교사의 핵심역량이 수업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
- PISA 연구주제 동향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OBE-BOPPPS 기반 중국 직업 대학 창의·창업 교육 모형 개발 연구
- 교육봉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교육적 의미와 인식변화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 진로발달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 경험사례
- 유아의 이야기꾸미기와 창의성이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Narrative of Early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Students’ Autobiographical Writing
- 대학생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자기표현 명사 특성 비교 연구
- 2015,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독일어권 문화’ 비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를 중심으로
- 중국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감의 관계에서 학업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활용한 수능제도 정책변동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활용한 수능제도 정책변동 분석
- 중국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감의 관계에서 학업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2015,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독일어권 문화’ 비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