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팀 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a Team-Based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Co-Regulated Learning
발행기관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저자명
신지명 곽비주 신민주
간행물 정보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5권 제3호,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1.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팀 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최근 대학 교육에서는 학습자 주도성과 협업 역량이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으나, 이를 통합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24년 4월 부터 6월 까지 부산 소재 K대학교에서 팀 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전체 참여자 108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두 시점 모두에 응답한 89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팀 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 참여 전후에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조절의 평균 점수가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팀 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핵심 역량을 통합적으로 강화하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하며, 대학 차원의 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팀 기반 학습 환경에서 자기주도성 및 공동조절 능력을 촉진하는 교육 모델의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프로그램 설계, 확산,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team-based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co-regulated learning. Although learner autonomy and collaboration skills are increasingly emphasized in higher education, empirical research addressing these competencies in an integrated manner remains limited. To address this gap, a team-based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 was implemented at K University in Busan from April to June 2024, and pre- and post-surveys were administered to 108 participants. Data from 89 students who completed both survey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co-regulated learning.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gram effectively strengthens core learner competencies and can serve as foundational evidence for institutional learning support and extracurricular program development. Furthermore, the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of team-based learning environments to foster self-directed and co-regulated learning, offering prac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program design and related research.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지명,곽비주,신민주. (2025).팀 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5 (3), 1-24

MLA

신지명,곽비주,신민주. "팀 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5.3(2025):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