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자기표현 명사 특성 비교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Self-Expressive Nouns Depending on University Students’ Levels of Self-Esteem
발행기관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저자명
임진혁 이남희
간행물 정보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5권 제3호, 193~21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1.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방 소재 C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자기표현 명사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자기표현 인터뷰를 병행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C대학 학생의 자아존중감 수준을 측정을 위한 조사는 소속학과, 학년, 성별 차이를 포함하여 분석하였으며, 자기표현 언어자료는 명사 형태로 추출하여 의미 특성을 비교하였다. 자아존중감 설문에서 [문항 3]‘나는 내가 실패자라고 생각하지 않는다.’와 [문항 7]‘나는 나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가 평균 4.1점으로 가장 높았고, [문항 6]‘나는 자랑할 만한 것이 많다.’는 3.61점으로 가장 낮았다. 소속학과별로는 항공운항학과가 4.73점으로 가장 높았고 간호학과가 3.56점으로 가장 낮았다. 학년별로는 3학년이 4.39점으로 가장 높았고 1학년이 3.86점으로 가장 낮았다. 성별 분석에서는 남학생(4.39점)이 여학생(3.61점)보다 높았다. 자아존중감 수준이 높은(상위) 그룹은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성격특성과 사회적 관계의 능동성을 드러내는 명사를 사용하였다. 반면에, 자아존중감 수준이 낮은(하위) 그룹은 내향적이고 불안정적 성격특성과 방어적이고 유머러스한 자기표현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수준이 자기표현 어휘 선택과 의미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자기표현 코칭, 성별과 전공별 맞춤형 상담 및 진로와 취창업교육 지원의 필요성을 제언하며, 향후 다양한 전공과 지역을 대상으로 표본을 확대한 심층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본연구의 의의는 대학생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자기표현 특성과 언어적 표현의 구체적 분석을 통해 학습과 상담, 진로 교육 및 취·창업 지도의 기초자료를 제공한 데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employing both a questionnaire survey and self-expression interviews with undergraduate students at University C, located in a provincial area,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elf-expressive noun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esteem among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the survey to measure the self-esteem levels of University C students was analyzed by academic major, year of study, and gender, and the linguistic data of self-expression were extracted in noun form to compare their seman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e self-esteem questionnaire, Item [3] “I do not think I am a failure” and Item [7] “I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myself” received the highest average score of 4.1, while Item [6] “I have many things to be proud of” scored the lowest at 3.61. By maj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Aviation Operations scored the highest (4.73), and those in the Department of Nursing scored the lowest (3.56). By year, third-year students scored the highest (4.39), while first-year students scored the lowest (3.86). In terms of gender, male students (4.39) scored higher than female students (3.61). Students in the high (upper) self-esteem group used nouns reflecting positive and proactive personality traits and active engagement in social relationships. In contrast, those in the low (lower) self-esteem group employed nouns indicative of introverted and unstable personality traits, as well as defensive and self-deprecating forms of self-expression. These differences suggest that the level of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s influences their lexical choices and semantic structures in self-expression. This study recommends the development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s, self-expression coaching, and customized counseling and career or employment education support by gender and academic major. Furthermore, it emphasizes the need for future in-depth qualitative studies with expanded samples across various majors and reg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learning, counseling, career education, and employment or entrepreneurship guidance through detailed analysis of self-expressiv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levels of self-este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진혁,이남희. (2025).대학생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자기표현 명사 특성 비교 연구.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5 (3), 193-211

MLA

임진혁,이남희. "대학생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자기표현 명사 특성 비교 연구."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5.3(2025): 193-2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