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전공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Narrative Study on the Dropout of Open Major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 저자명
- 곽비주
- 간행물 정보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5권 제3호, 43~5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1.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D 대학교 자유전공학부의 학생들을 내러티브 연구로 초대하여 그들의 대학에서의 중도이탈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그 경험에 관한 내터티브 연구를 통해 살아있는 현장의 이야기를 전하고자 하였다.
무전공 및 자유전공의 개설 및 운영 목적은 전공을 선택하거나 정하지 않고 대학에 진학하여 다양한 분야의 학문을 탐구하거나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통해 전공을 탐색하는데 제약을 없애고 자율성을 확대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관한 연구가 아니라 자유전공 및 무전공 학생들의 중도탈락과 어려움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 결과 D 대학에 진학한 대학생들은 다양한 전공탐색과 풍부한 전공선택의 기회를 누리며 활동하는 기대와 설렘으로 입학했지만, ‘1년짜리 학과, 1년짜리 소속감’으로‘억지로 꾸역꾸역 듣고 채워야 하는 과목’을 수강하며, ‘이름만 자유전공, 무전공, 실상은 필수교양과목 듣는 소속 없는 1학년’으로의 삶을 살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원하는 전공의 확신이 없거나 목표설정이 미비한 학생들에게 기회이자 희망이었을 이 자유전공, 무전공이라는 무대는 어떤 이들에게는 그 손길이 전혀 와닿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그렇게 그들이 궁극적으로 선택한 것은 자퇴(중도탈락)임이 보고 되었다.
본 연구는 이제 필연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의 기로에 선 자유전공, 무전공의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olved students in D University's open major program in a narrative study, gathering insights into their experiences of dropping out. Through this narrative, I captured their lived experiences.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open major program is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xplore and explore diverse academic fields without having to choose a major, thereby removing constraints on major exploration and expanding their autonomy.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dropouts and challenges faced by students in open major programs, rather than examining dropout rates across all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s entering D University were excited and hopeful about exploring and choosing diverse majors. However, they were living as "first-year students without a major, effectively unrelated to the required liberal arts courses," with a "one-year sense of belonging" and a "one-year department."
The "open major” which offered hope and opportunity to students with uncertain major aspirations or lacking clear goals, proved to have no impact on some students. Ultimately, it is reported that their final choice was to drop out.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practical support measures for open majors, which are at a crossroads of an inevitable paradigm shift.
목차
Ⅰ. 여는 글
II. 왜 내러티브 탐구인가?
III. 다시 이야기하기 : 세 명의 대학생
Ⅳ. 결론짓기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ISA 연구주제 동향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팀 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 교육봉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교육적 의미와 인식변화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 OBE-BOPPPS 기반 중국 직업 대학 창의·창업 교육 모형 개발 연구
- 중국 직업대학 학생 IB 교육 기반 진로역량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대학생이 지각한 심리적 독립이 진로역량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과 학습몰입의 이중매개효과
- 무전공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관한 연구
-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의 해외 최신 동향 비교 연구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활용한 수능제도 정책변동 분석
-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and Retention Mechanisms of the Professional Attractiveness of Rural Teachers in China
- 진로발달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 경험사례
- Narrative of Early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Students’ Autobiographical Writing
- 유아의 이야기꾸미기와 창의성이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자기표현 명사 특성 비교 연구
- 지역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육주체 인식 비교
- 2015,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독일어권 문화’ 비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를 중심으로
- 초․중등 신규교사의 핵심역량이 수업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감의 관계에서 학업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Research on the Practical Teaching Model in Application-Oriented Universities in China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