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독일어권 문화’ 비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Cultures in German-Speaking Countries’ in the 2015 and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Textbooks
발행기관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저자명
최한슬 김사훈
간행물 정보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5권 제3호, 235~26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1.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일어권 문화’의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를 비교·분석하여, 교육과정 변화가 교과서에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해당 과목이 보통교과의 선택과목이자 전문교과의 전공과목으로 운영되는 이중적 위치에 놓이게 된 상황에서 그 교육적 적합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기반의 비교 내용 분석을 적용하였으며, 교육과정 문서의 ‘성격 및 목표’, ‘내용체계 및 성취기준’과 교과서의 ‘단원 구성’, ‘텍스트 유형 및 언어 수준’, ‘활동 과제 및 학습자 중심성’을 중심으로 다섯 가지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독일어권 문화’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비해 과목의 성격과 목표가 학습자 중심의 역량 지향 구조로 구체화되었으며, 내용 체계가 세분화되고 성취기준은 고차원적 사고와 실천을 포함하는 과정 중심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서 측면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가 독일어 장문과 폐쇄형 과제 중심으로 구성되어 언어·문화 통합 학습을 지향한 반면,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는 한국어 중심 설명문과 개방형 과제를 확대하여 학습자의 부담을 완화하고 접근성과 주도성을 강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독일어권 문화’ 과목이 지닌 이중적 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 딜레마를 완화하기 위한 교육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향후 연구 과제로서, 타 언어권 문화 과목을 대상으로 2015 및 2022 개정 교육과정 간의 변화 양상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보다 일반화된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textbooks of ‘Cultures in German-Speaking Countries’ under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to examine how the curriculum changes were reflected in textbook design and content. Furthermore, it seeks to evaluate the educational appropriateness of the subject, which has come to occupy a dual position as both an elective course in the general subjects and a specialized major course in the specialized subjects. A literature-based comparative content analysis was employed as the research method. Five analytical criteria were established, focusing on ‘subject characteristics and objectives’ and ‘content structure and achievement standards’ within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unit structure’, ‘text type and linguistic level,’ and ‘learning activities and learner-centeredness’ within the textbook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2022 revised curriculum presents a clearer, learner-centered, and competency-oriented framework for the ‘Cultures in German-Speaking Countries’ subject compared to the 2015 revision. The content structure was further detailed,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shifted toward a process-oriented approach encompassing higher-order thinking and practical application. At the textbook level, while the 2015 textbook emphasized integrated language-and-culture learning through extended German texts and closed-form exercises, the 2022 textbook expanded its use of Korean explanatory texts and open-ended tasks to reduce learners’ cognitive load and enhance accessibility and autonom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policy implications for addressing the structural dilemma arising from the subject’s dual status across different school types. It also suggests future research comparing ‘Cultures in German-Speaking Countries’ with other language-area culture courses under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to derive more generalized insights for curriculum and textbook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한슬,김사훈. (2025).2015,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독일어권 문화’ 비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를 중심으로.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5 (3), 235-260

MLA

최한슬,김사훈. "2015,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독일어권 문화’ 비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를 중심으로."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5.3(2025): 235-2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