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Narrative of Early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Students’ Autobiographical Writing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 저자명
- Park Hye Jin
- 간행물 정보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5권 제3호, 169~18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1.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how early aspect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 ware narratively expressed and constructed during the premedical stage of medical education. Thirty autobiographical writings by first-year premedical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McAdams’s Life Story Model of Identity across five components setting, scenes, characters, plot, and theme. In the — setting, students primarily situated their narratives within family, school, and community contexts. Parents were described as emotional supporters and providers of learning environments, while teachers were portrayed as facilitators who nurtured diligence and responsibility. In the scenes, experiences such as rejection from special-purpose high schools, declining CSAT results, and gap years were depicted as turning points of reflection and renewed effort rather than simple failures. In the characters, parents, teachers, and mentors appeared as helpers guiding students’ value formation, whereas peers were described as figures who evoked empathy and responsibility through conflict and cooperation. The plot commonly followed a sequence of challenge–setback–reflection–overcoming–growth, showing how students reconstructed their experiences into coherent stories of self-development. Finally, the themes that emerged across narratives were diligence, responsibility, empathy, service, and calling—core professional values that began to form through reflective integration of life experienc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lements of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may begin to emerge during the premedical stage, as students narratively connect their experiences and values through autobiographical reflection.
영문 초록
본 연구는 의예과 시기의 자서전적 글쓰기를 통해 전문직 정체성 형성(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PIF)의 초기 양상이 어떻게 서사적으로 표현되고 구성되는지를 탐색하였다. 의예과 1학년 학생 30명의 자서전적 글쓰기를 맥아담스(McAdams)의 삶의 이야기 정체성 모형(Life Story Model of Identity)의 다섯 요소—배경(setting), 장면(scenes), 등장인물(characters), 줄거리(plot), 주제(theme)—에 따라 분석하였다. 배경(setting)에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서사를 주로 가정, 학교, 지역사회 맥락 속에서 구성하였으며, 부모는 정서적 지지자이자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존재로, 교사는 성실성과 책임감을 길러주는 조력자로 서술되었다. 장면(scenes) 에서는 특수목적고 탈락, 수능 성적 하락, 재수 등의 경험이 단순한 실패가 아니라 성찰과 재도전의 전환점으로 제시되었다. 등장인물(characters) 에서는 부모, 교사, 멘토가 가치 형성을 돕는 조력자로, 또래는 갈등과 협력을 통해 공감과 책임을 일깨우는 인물로 나타났다. 줄거리(plot) 는 ‘도전–좌절–성찰–극복–성장’의 흐름을 따라, 실패 경험을 자기 성장의 계기로 재구성하는 서사 구조를 보여주었다. 주제(theme) 로는 성실, 책임, 공감, 봉사, 소명 등이 공통적으로 도출되어, 삶의 경험을 반영적 서사로 통합하는 과정에서 전문직 가치가 형성되는 초기 양상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의예과 단계에서 이미 학생들이 자서전적 성찰을 통해 개인의 경험과 가치를 연결하며 전문직 정체성을 구성하기 시작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Ⅰ. Introduction
II. Methods
III. Results
Ⅳ. Conclusion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ISA 연구주제 동향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팀 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 교육봉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교육적 의미와 인식변화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 OBE-BOPPPS 기반 중국 직업 대학 창의·창업 교육 모형 개발 연구
- 중국 직업대학 학생 IB 교육 기반 진로역량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대학생이 지각한 심리적 독립이 진로역량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과 학습몰입의 이중매개효과
- 무전공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관한 연구
-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의 해외 최신 동향 비교 연구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활용한 수능제도 정책변동 분석
-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and Retention Mechanisms of the Professional Attractiveness of Rural Teachers in China
- 진로발달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 경험사례
- Narrative of Early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Students’ Autobiographical Writing
- 유아의 이야기꾸미기와 창의성이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자기표현 명사 특성 비교 연구
- 지역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육주체 인식 비교
- 2015,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독일어권 문화’ 비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를 중심으로
- 초․중등 신규교사의 핵심역량이 수업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감의 관계에서 학업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Research on the Practical Teaching Model in Application-Oriented Universities in China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