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중등 신규교사의 핵심역량이 수업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Novice Teachers’Core Competencies on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 저자명
- 유신복 송영명
- 간행물 정보
-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5권 제3호, 261~28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1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중등 신규교사의 수업설계․실행 및 학생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그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교원종단연구 2020의 1차년도 자료 가운데 교직경력 5년 미만의 교사 621명(초등 264명, 중등 357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변인은 교사의 핵심역량인 창의성, 비판적사고, 의사소통, 협업과 수업설계․실행 및 학생평가이며, 자료 분석을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 신규교사의 수업설계․실행에는 협업역량과 의사소통역량이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쳤으며, 학생평가에는 협업역량과 비판적사고역량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 신규교사의 경우 수업설계․실행에 창의성역량과 의사소통역량 및 협업역량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학생평가에는 창의 성역량과 협업역량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급과 교사의 수업과 평가에 모두 협업역량이 주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신규교사의 전문성 발휘에 가장 일관되고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핵심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신규교사의 수업 및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해 협업 중심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축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의 시사점 및 제도적 지원을 위한 방향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ich core competencies influence the lesson design, implementation, and student assessment of novic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o analyze their influence.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first wave of the Seoul Teacher Panel Study 2020 were analyzed, targeting 621 teach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264 elementary and 357 secondary teachers). The major variables included teachers’ core competencies—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as well as lesson design, implementation, and student assessm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for no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ie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lesson design and implementation, while collaboration and critical thinking competenci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 assessment. For no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creativity,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competencies significantly influenced lesson design and implementation, and creativity and collaboration competencies significantly affected student assessment. Notably, collaboration competency emerged as a key factor influencing both instruction and assessment across school levels, indicating that it is the most consistent and powerful determinant of novice teachers’ professional performance.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cessity of building collaboration-center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o enhance the instructional and assessment expertise of novice teachers.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improving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are also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ISA 연구주제 동향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 팀 기반 자기주도학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협력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 교육봉사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교육적 의미와 인식변화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 OBE-BOPPPS 기반 중국 직업 대학 창의·창업 교육 모형 개발 연구
- 중국 직업대학 학생 IB 교육 기반 진로역량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대학생이 지각한 심리적 독립이 진로역량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과 학습몰입의 이중매개효과
- 무전공 대학생의 중도탈락에 관한 연구
-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의 해외 최신 동향 비교 연구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활용한 수능제도 정책변동 분석
-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and Retention Mechanisms of the Professional Attractiveness of Rural Teachers in China
- 진로발달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 경험사례
- Narrative of Early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in Medical Students’ Autobiographical Writing
- 유아의 이야기꾸미기와 창의성이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른 자기표현 명사 특성 비교 연구
- 지역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육주체 인식 비교
- 2015,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독일어권 문화’ 비교: 교육과정 문서와 교과서를 중심으로
- 초․중등 신규교사의 핵심역량이 수업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대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감의 관계에서 학업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Research on the Practical Teaching Model in Application-Oriented Universities in China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