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들의 학생 주도성을 지향하는 교육과정 실천 경험에 대한 해석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6

영문명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Teachers’ Curriculum Practice towards Student Agency
발행기관
한국교육학회
저자명
김지수
간행물 정보
『교육학연구』제63권 제6호, 553~58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10.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 사회에서 학생 주도성이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교사들이 이미 학생 주도성 제고의 의무를 부여받았음에도, 학생 주도성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이 어떠해야 하는지는 여전히 모호한 실정이다. 학교 밖에서 교육과정 실천의 방향성을 규정하기에 앞서 학교 내의 고민과 어려움을 깊이 이해하는 것이 필요한 때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교사들의 학생 주도성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실천의 개별성과 그 개별성 기저를 관통하는 공통성으로서의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경험은 다양성이 공존하는 교실 교육과정을 실천하기 위한 노력, 학생들의 배움과 삶의 의미 탐구를 촉진하기 위한 노력, 학생들의 삶과 연결하여 교육과정의 맥락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 학생 참여 교육과정을 실천하기 위한 노력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같은 개별성을 토대로, 교사들이 공통적으로 표준화로 귀결되지 않는 방식의 교육과정 다양화를, 의도되지 않은 교육적 결과로서의 의미 만들기를, 학생 참여 교육과정의 생성과 개발을 지향함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생 주도성이 신자유주의적인 맥락에서 정의되고 있는 현실에 대한 성찰 속에서 시장의 논리에 입각한 교육의 구조와 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공동체적인 노력, 특히 학생 주도성을 지향하는 학교의 구조와 문화를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영문 초록

Student agency has gained increasing attention in Korean society. However, although teachers have already been assigned the responsibility of fostering student agency under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onsiderable ambiguity remains regarding what such a curriculum should look like. Before determining directions for curriculum practices outside of schoo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hallenges and concerns within schools. Employing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this study examined both the idiography of teachers’ curriculum practices towards student agency and the shared educational meanings that run through these practices. The findings revealed teachers’ efforts to embrace diversity in class, to promote students’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learning and life, to strengthen curricular contextuality by connecting with students’ lived experiences, and to realize participatory curricula. Building on the idiography, the study discusses how teachers commonly sought to diversify curricula in ways that do not culminate in standardization, to generate unintended yet meaningful educational outcomes, and to create and develop participatory curricula oriented toward student agency. These findings call for critical reflection on the neoliberal framing of student agency and highlight the need for collective efforts to reform market-oriented educational structures and cultures, particularly by fostering school environments that support student agency.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교사들의 학생 주도성을 지향하는 교육과정 실천 사례
Ⅴ.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천 경험의 교육적 의미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수. (2025).교사들의 학생 주도성을 지향하는 교육과정 실천 경험에 대한 해석현상학적 연구. 교육학연구, 63 (6), 553-583

MLA

김지수. "교사들의 학생 주도성을 지향하는 교육과정 실천 경험에 대한 해석현상학적 연구." 교육학연구, 63.6(2025): 553-58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