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유주의에 기반한 사회과 수업 디자인: 보편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Lesson Design for Social Studies Based on Liberalism: Focusing on the Universalist Position
-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수업학회
- 저자명
- 전유정
- 간행물 정보
- 『사회과수업연구』제13권 제3호, 69~8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유주의의 이론을 간략히 검토하고, 자유주의와 사회과교육의 연계점을 탐색하였다. 자유주의자가 사회과에서의 시민성 교육을 바라보는 입장은 다문화주의자 위치, 단일주의자 위치, 시장주의자 위치, 보편주의자 위치로,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본 연구는 보편주의자의 관점에서 사회과교육을 바라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사회과 수업을 설계하기에 앞서, 사회과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사회과교육의 목표인 시민성에서 핵심적으로 다루어져야 하는 자질로서 민주 시민으로서의 기본적인 지식,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 투표와 선거를 포함한 바람직한 정치 참여 능력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수업 활동 구성에 있어 학습자 활동 중심의 수업이 필요함을 밝히고, 실제 사회과 수업 설계에 있어 이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주의에 기반한 사회과 수업 디자인에 있어 문제 확인 및 입장 설정, 청취 규칙 정하기, 문제 규명하기, 입장 표명하기, 결정 기준 정하기 및 결정하기, 정리하기의 여섯 단계로 이루어진 수업의 흐름을 구성하여 제안하였으며, 각 단계에서 이루어져야하는 활동과 활동 진행시 유의사항을 함께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2022 개정 사회과교육과정에 적용한 수업 사례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사회과 수업 디자인을 제시하는 것을 통해 자유주의를 기반으로 어떠한 사회과교육이 가능한지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riefly reviews the theory of liberalism and explores its connections with social studies education. The perspectives of liberals on citizenship education in social studie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positions: the multicultural position, the monistic position, the market position, and the universalist position. Among these, this study adopts the universalist position in approaching social studies education. Prior to designing specific lessons, the study identifies essential qualities of citizenship that should be central to social studies education—fundamental knowledge as democratic citizens, rational decision-making skills, and desirable political participation including voting and elections—based on previous research. Furthermore, the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n constructing classroom activities and reflects this in the design of social studies lessons. Specifically, it proposes a six-stage instructional flow grounded in liberalism: identifying issues and setting positions, establishing listening rules, clarifying problems, expressing positions, setting decision criteria and making decisions, and concluding. For each stage, the study outlines required activities and considerations for implementation. Additionally, it provides a lesson case applying this framework to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education curriculum to enhance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demonstrating what kin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s possible from the perspective of Liberalism by presenting a concrete lesson design built upon theoretical review.
목차
Ⅰ. 서론
Ⅱ. 자유주의와 사회과교육
Ⅲ. 자유주의에 기반한 사회과 수업 디자인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 대상 유튜브 역사 콘텐츠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 함양
- 예술을 활용한 초등 사회과수업 모색
- AI가 생성하는 공간과 지리교육의 새로운 접점
- 자유주의에 기반한 사회과 수업 디자인: 보편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 교사학습공동체를통한 사회과 수업의 공동 디자인과 실천 의미: ‘우리나라의 국가 간 갈등’을 주제로
- 사회과 수업에서 드러난 입법교육 실천의 다원성: ‘입법 없는 입법교육’을 중심으로
- 디지털 시대에 사회적 전쟁의 원인과 시민교육의 방향 - 심리적 불편함을 중심으로 -
- 초등학생 생태소양 함양을 위한 자원순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 사회과 감정지도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학교 공간의 장소감 변화
- 대통령 탄핵 사건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정치 현안 인식과 사회과 수업의 시사점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