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 생태소양 함양을 위한 자원순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ing Ecological Literacy in Elementary Students through a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수업학회
- 저자명
- 안진화
- 간행물 정보
- 『사회과수업연구』제13권 제3호, 147~16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 등 심각한 환경 문제가 전 지구적 과제로 대두되는 시대적 상황에서, 초등학생의 생태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교과 융합형 자원순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생태소양의 구성 요소를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으로 추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사회과를 중심으로 실과, 미술, 도덕 교과와 연계한 융합형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주요 학습 주제는 쓰레기, 분리배출, 업사이클링, 제로웨이스트 등 학생들의 생활세계와 밀접하게 관련된 내용으로 구성하였고, 학습은 ‘관심 갖기–알기–실천’의 단계로 진행되도록 하였다. 효과성 검증을 위해 세종시 H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25명)과 비교집단(24명)을 설정하여, 실험집단에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비교집단에는 일반 교육과정 내 자원순환 학습을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은 사전·사후 검사 비교에서 생태 지식, 생태 정서, 생태 행동의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교과 융합형 자원순환 교육이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학생들의 생태적 가치관 내면화를 촉진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능동적 생태 시민으로의 성장을 지원하는 효과적 접근임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생태전환교육의 구체적 실천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다양한 학년과 지역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확대 및 생태 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nd evaluated a curriculum-integrated resource circulation education program to foster ecological literac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global challenges such as climate change and pollution intensify, education must embrace an ecological perspective that emphasizes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nature. Recognizing the formative role of elementary years, the program was designed by integrating social studies with practical arts, fine arts, and ethics, focusing o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domains of ecological literacy. Topics relevant to daily life—waste, recycling, upcycling, and zero waste—were organized into three stages: “Caring,” “Knowing,” and “Practical Competence.”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wo fifth-grade classes in Sejong City: an experimental group (25 students) that received the program and a control group (24 students) taught through the standard curriculum. Resul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group across all domains, with the greatest gains in ecological practice, where students engaged in concrete actions such as environmental campaigns. In conclusion, the program effectively advanced ecological literacy by moving beyond theory to foster values and practices for sustainable living. The findings align with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provide practical directions for expanding ecological transition education and developing systematic models for cultivating ecological citizenship.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 대상 유튜브 역사 콘텐츠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 함양
- 예술을 활용한 초등 사회과수업 모색
- AI가 생성하는 공간과 지리교육의 새로운 접점
- 자유주의에 기반한 사회과 수업 디자인: 보편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 교사학습공동체를통한 사회과 수업의 공동 디자인과 실천 의미: ‘우리나라의 국가 간 갈등’을 주제로
- 사회과 수업에서 드러난 입법교육 실천의 다원성: ‘입법 없는 입법교육’을 중심으로
- 디지털 시대에 사회적 전쟁의 원인과 시민교육의 방향 - 심리적 불편함을 중심으로 -
- 초등학생 생태소양 함양을 위한 자원순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 사회과 감정지도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학교 공간의 장소감 변화
- 대통령 탄핵 사건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정치 현안 인식과 사회과 수업의 시사점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수학 예비교사의 AIDT에 대한 기대와 활용
- 예비교사의 ‘설계-실행-재설계’ 과정에 기반한 교사 설계 역량 프레임워크의 정교화
- 대규모 수학 평가 문항에서의 인지·행동 영역 분류와 교사의 이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