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학습공동체를통한 사회과 수업의 공동 디자인과 실천 의미: ‘우리나라의 국가 간 갈등’을 주제로

이용수  0

영문명
Meaning of Collaborative Design and Practice of Social Studies Lesson through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cusing on ‘Conflicts between Countrie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사회과수업학회
저자명
김홍탁
간행물 정보
『사회과수업연구』제13권 제3호, 85~11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사회과 수업의 공동 디자인과 실천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특히 정치적으로 민감한 쟁점을 포함하는 국제정치 수업을 사회과 교사 간의 협력을 통해 디자인하고 실천한 경험을 성찰함으로써, 교사학습공동체 참여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사회과 교사인 연구자는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인 ‘우리나라의 국가 간 갈등’을 주제로 2023년에 실천한 국제정치 수업 사례를 대상으로 자기 연구를 수행하였다. 공동 수업 디자인과 수업 실천 과정은 자기 연구의 핵심 절차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협력적 기반 위에 이루어진 공동 작업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연구 결과,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 공동 수업 디자인 및 실천 경험은 수업자의 수업 의도를 공유하고 명료화하기, 동료 교사의 교수 경험을 바탕으로 수업 아이디어를 도출하기, 수업을 구체화하여 실천하기 등 세 가지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경험은 ‘안전한 공간’에서 실천의 동력 얻기, 연대의 경험으로 실천을 이어가기, 사회과 수업 생태계의 정원사 되기라는 의미를 갖는다. 연구자에게 사회과 교사들로 구성된 교사학습공동체는 수업 실천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도록 실질적이고 강력한 지원을 제공하는 존재이다. 사회과 교사들과 함께 수업을 디자인하고 실천하는 전문적 행위는 사회과 교사로서의 연대를 실현하는 교육적 실천으로 의미를 형성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맥락 전문가’로서 사회과 수업 생태계를 돌보는 정원사 되기의 과정에서 논쟁적이고 민감한 주제를 안전하게 탐구할 수 있는 수업 환경 조성에 대한 책임감을 갖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ollaborative design and practice of social studies lesson through teacher learning community. Particularly, by reflecting on the design and practice of international politics lesson- involving politically sensitive issues- through collaboration of social studies teachers, this study aims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participation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a self-study based on an international politics lesson taught in 2023 on the topic of ‘conflicts between countries in korea’.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lesson design and lesson practice is a core process of self-study, and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joint work based on the collaborative foundation of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e results of the study categorizes the experience of collaborative lesson design and practice through teacher learning community into three areas: sharing and clarifying the teacher's instructional intentions, generating lesson ideas based on fellow teachers’ instructional experiences, and concretizing and practicing the lesson. These experiences carry the following meanings: gaining momentum for action in a ‘safe space’, continuing practice through experiences of solidarity, and becoming gardeners of the social studies classroom ecosystem. For the researcher, teacher learning community provided substantial support to overcome the challenges of classroom practice. The professional act of designing and practicing lesson formed a meaningful educational practice that fostered solidarity as a social studies teacher. Furthermore, in the process of becoming such a gardener, the researcher developed a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contextual expert’ for creating a classroom environment where controversial topics can be safely explor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및 절차
Ⅲ. 사회과 수업의 공동 디자인과 실천 과정
Ⅳ. 사회과 수업의 공동 디자인과 실천 의미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홍탁. (2025).교사학습공동체를통한 사회과 수업의 공동 디자인과 실천 의미: ‘우리나라의 국가 간 갈등’을 주제로. 사회과수업연구, 13 (3), 85-110

MLA

김홍탁. "교사학습공동체를통한 사회과 수업의 공동 디자인과 실천 의미: ‘우리나라의 국가 간 갈등’을 주제로." 사회과수업연구, 13.3(2025): 85-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