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시대에 사회적 전쟁의 원인과 시민교육의 방향 - 심리적 불편함을 중심으로 -

이용수  0

영문명
The Causes of Social warfare and the Direction of Civic Education in the Digital Age - Focusing on Psychological Discomfort -
발행기관
한국사회과수업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사회과수업연구』제13권 제3호, 135~14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사회적 전쟁’ 의 근본 원인을 개인의 ‘심리적 불편함’의 회피 기제에서 찾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시민교육의 방향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인간은 기존의 사고 틀(schema)과 괴리돼 있는 이질적인 정보에 직면할 때, 인지적 부조화 현상이 발생하는 데, 이에 따라 감정적으로 심리적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그 결과, 시민은 사고의 틀을 재구성하는 고통스러운 ‘조절(accommodation)’ 단계로 나아가지 않고, 기존의 틀에 정보를 끼워 맞추는 ‘동화(assimilation)’에 머무르거나 배제하게 된다. 결국 외부 자극에 대한 배제나 선택적 수용은 인지 부조화 현상이 수반하는 심리적 불편함을 회피하려는 성향 때문이다. 디지털 환경은 이러한 편향을 가속화하여 타 집단에 대한 혐오와 비체화(abject)를 유발하며, 결국 집단 간의 비물리적 폭력이 난무하는 ‘사회적 전쟁’을 유발한다. 한편, 이에 대응하는 시민교육은 ‘심리적 불편함’을 회피의 대상이 아닌, 학습과 성찰의 동력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교육 내용은 인지 부조화를 의도적으로 유발하는 ‘탈동조화(decoupling) 콘텐츠’와 복잡한 삶의 맥락을 함의한 ‘사례(case) 중심 콘텐츠’를 중심으로 구성해야 한다. 방법론적으로는 끊임없는 질문과 토론이 장려되는 포용적 학습 문화에서, 지식 암기에서 벗어난 ‘연결 중심 학습’과 ‘인지적 조절(accommodation) 학습’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미래 시민교육은 정돈된 지식의 전달과 기억 중심의 교육을 극복하고, 학습자가 필연적으로 마주하는 심리적 불편함을 외면하지 않으며, 이를 타자와의 공존과 새로운 아이디어 창출의 계기로 삼는 공존 기반 문제해결 역량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oot cause of “social warfare” in the digital age in individuals’ avoidance mechanisms of “psychological discomfort,”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civic education based on this understanding. When individuals encounter disparate information that contradicts their existing frameworks (schema), cognitive dissonance occurs, which can lead to emotional and psychological discomfort. As a result, citizens avoid the painful “accommodation” stage of restructuring their thinking, but instead remain in “assimilation,” where information is forced into existing frameworks, or even become excluded. Ultimately, exclusion or selective acceptance of external stimuli stems from a tendency to avoid the psychological discomfort associated with cognitive dissonance. The digital environment accelerates this bias, fostering hatred and abjection of other groups, ultimately triggering “social warfare” characterized by rampant non-physical violence between groups. Civic education responding to this need to transform “psychological discomfort” from an object of avoidance into a driving force for learning and reflection. To achieve this,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structured around “decoupling content,” which intentionally induces cognitive dissonance, and “case-based content” that embodies the complex context of life. Methodologically,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connection-centered learning” and “cognitive accommodation learning,” moving beyond memorization of knowledge, within an inclusive learning culture that encourages constant questioning and discussion.

목차

Ⅰ. 서론
II. 사회적 전쟁의 의미와 원인
Ⅲ. 심리적 불편함에 대한 시민교육의 대응 방안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5).디지털 시대에 사회적 전쟁의 원인과 시민교육의 방향 - 심리적 불편함을 중심으로 -. 사회과수업연구, 13 (3), 135-146

MLA

. "디지털 시대에 사회적 전쟁의 원인과 시민교육의 방향 - 심리적 불편함을 중심으로 -." 사회과수업연구, 13.3(2025): 135-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