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가 생성하는 공간과 지리교육의 새로운 접점
이용수 43
- 영문명
- AI-Generated Spaces and New Frontiers in Geograph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수업학회
- 저자명
- 박지수
- 간행물 정보
- 『사회과수업연구』제13권 제3호, 49~6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공지능(AI)이 생성한 공간이 원본 공간의 시각적·맥락적 특성을 어떻게 재현하고 변형하는지를 분석하고, 그 교육적 함의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급격히 발전한 이미지 생성 기술은 단순히 존재하는 풍경을 묘사하는 차원을 넘어, 공간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단계에까지 이르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국내외 도시 및 자연환경 각각 2곳씩, 총 8곳의 대표적 사례를 선정하여, AI 생성 이미지와 원본 이미지를 비교하였다. 이미지 생성은 DALL·E 3와 Midjourney를 사용하고, 동일한 프롬프트 조건을 설정한 뒤 장소별로 반복 생성하여 결과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분석 절차에서는 사회·문화·경제·환경의 네 범주로 맥락 요소를 코딩하고, 맥락 보존율(CPR)과 채도 변화율(SCR)이라는 두 가지 지표를 산출하여 AI 재현의 충실성과 변형 양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자연환경 사례에서는 CPR이 높고 SCR이 낮은 경향이 나타났으며, 도시환경 사례에서는 그 반대 경향이 확인되었다. 이는 AI가 반복적·안정적 시각 패턴을 비교적 충실히 재현하는 반면, 사회·문화적 요소가 복잡하게 얽힌 환경에서는 일부 요소를 단순화하거나 생략하고 색채를 강화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AI가 생성한 공간을 지리교육에서 실재 공간의 단순한 대체물이 아닌 비판적 탐구 대상으로 전환해야 함을 보여준다. 특히 계량 지표를 기반으로 한 공간 분석 활동은 기존 공간 개념을 넘어서는 새로운 교육적 내용과 방법론을 설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데이터 해석 능력과 비판적 시각 문해력을 동시에 심화하는 교육적 효과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artificial intelligence (AI)-generated spaces reproduce and transform the visual and contextual characteristics of original spaces, and to explore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eight sites were selected—two urban and two natural environments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xts. AI-generated images of each site were compared with their corresponding original images. Image generation was conducted using both DALL·E 3 and Midjourney, with each prompt applied three times per site to ensure consistency of results. The analysis involved coding contextual elements into four categories—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environmental—and calculating two metrics: Context Preservation Rate (CPR) and Saturation Change Rate (SCR). The findings revealed a tendency for higher CPR and lower SCR in natural environments, and the opposite in urban environments. This suggests that AI tends to more accurately reproduce repetitive and stable visual patterns, whereas in complex socio-cultural settings, it often simplifies or omits certain elements while intensifying color satu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I-generated spaces should be viewed not as mere replicas but as ‘reconstructed spaces’ within the context of geography education. In particular, analytical activities using quantitative indicators such as CPR and SCR may be effective in fostering students’ critical spatial literacy.
목차
Ⅰ. 서론
Ⅱ. 공간 개념의 재구성과 AI의 역할
Ⅲ. AI 생성 공간 분석과 사례 비교
Ⅳ. 지리교육 패러다임 전환과 실천 방향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생 대상 유튜브 역사 콘텐츠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 함양
- 예술을 활용한 초등 사회과수업 모색
- AI가 생성하는 공간과 지리교육의 새로운 접점
- 자유주의에 기반한 사회과 수업 디자인: 보편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 교사학습공동체를통한 사회과 수업의 공동 디자인과 실천 의미: ‘우리나라의 국가 간 갈등’을 주제로
- 사회과 수업에서 드러난 입법교육 실천의 다원성: ‘입법 없는 입법교육’을 중심으로
- 디지털 시대에 사회적 전쟁의 원인과 시민교육의 방향 - 심리적 불편함을 중심으로 -
- 초등학생 생태소양 함양을 위한 자원순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
- 사회과 감정지도화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학교 공간의 장소감 변화
- 대통령 탄핵 사건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정치 현안 인식과 사회과 수업의 시사점
- 제주이해(제주정체성)교육으로 살펴본 인정도서 『제주배움』: <탐라개국신화> 주제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nhancing Learners’ Convergence Competency through VR Design-Based STEAM Education
- In-Context Learning을 통한 서·논술형 평가에서의 대형 언어 모델과 교사 간 채점 및 피드백 정합성 향상 방안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Beliefs about Intelligence, Goal Orientation, and Cognitive Task Engagement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