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생 대상 유튜브 역사 콘텐츠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 함양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Critical Reading Program for YouTube History Content to Foster Critical Thinking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사회과수업학회
저자명
이소영
간행물 정보
『사회과수업연구』제13권 제3호, 1~2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유튜브 역사 콘텐츠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다양한 미디어에서 거짓과 사실이 섞인 수많은 정보가 쏟아지는 디지털 정보 시대에 영상 텍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유튜브 역사 콘텐츠에 주목하여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유튜브 역사 콘텐츠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직접 실행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전후로 비판적 사고력 함양 정도를 비판적 사고 기능과 비판적 사고 성향으로 나누어 정량적‧정성적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유튜브 역사 콘텐츠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변화도 정성적 방법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 비판적 사고 기능과 비판적 사고 성향의 변화를 정량적‧정성적으로 분석하였을 때 모두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학생들이 비판적 읽기 과정을 경험함에 따라 유튜브 역사 콘텐츠를 읽을 때 무조건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의심하고 질문을 던지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생들이 유튜브 역사 콘텐츠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잘못된 정보에 대해 댓글, 좋아요 또는 싫어요 표시를 하며 소통하고자 하는 능동적인 학습자로서의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유튜브 역사 콘텐츠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을 위해 유튜브 콘텐츠의 특성을 반영한 비판적 읽기 모형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역사교육과 미디어교육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ritical reading program for YouTube history content aimed at fostering critical thinking and to examine its effects when applied in an actual educational setting. In the digital information era, where facts and falsehoods are intermingled across diverse media, this study focused on YouTube history content based on video texts and implemented the program with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enhancement of critical thinking was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distinguishing between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s. In addition, changes in students’ perceptions of YouTube history content were examined through qualitative method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both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s showed positive changes after the program, as confirmed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Second, as students engaged in the critical reading process, they demonstrated not unconditional acceptance but questioning and raising doubts when interpreting YouTube history content. Thir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 history content, students exhibited the traits of active learners by communicate through comments, likes, or dislikes in response to misinformation. This study suggests new directions for history education and media education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critical reading model that reflects the unique features of YouTube content.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소영. (2025).초등학생 대상 유튜브 역사 콘텐츠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 함양. 사회과수업연구, 13 (3), 1-27

MLA

이소영. "초등학생 대상 유튜브 역사 콘텐츠 비판적 읽기 프로그램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 함양." 사회과수업연구, 13.3(2025): 1-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