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자아초월 및 노년초월의 관계
이용수 12
- 영문명
- Relationships Among Deliberate Rumination, Post-traumatic Growth, Self-Transcendence, and Gerotranscendence in Older Adults Experienced Loss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안정신 진지혜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16권 제3호, 305~32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 자아초월 및 노년초월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며, 외상 후 성장과 노년초월간의 관계에서 자아초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건강, 관계, 사별 상실을 경험한 만 65세 이상 노인 265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자료 분석에는 SPSS 29.0과 AMOS 29.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들의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 자아초월은 모두 서로 정적상관을 보였고, 노년초월은 외상 후 성장과 자아초월 모두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의도적 반추가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외상 후 성장이 자아초월을 매개로 노년초월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대안모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구모형에서 의도적 반추는 외상 후 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외상 후 성장이 자아초월을 매개로 노년초월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미하였다. 또한 외상 후 성장이 노년초월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아 외상 후 성장이 노년초월에 이르는 경로에서 자아초월이 완전 매개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의도적 반추, 외상 후 성장, 자아초월, 노년초월 간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상실을 경험한 노인의 심리사회적 성숙을 이해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deliberate rumination, post-traumatic growth (PTG), self-transcendence, and gerotranscendence in older adults who have experienced loss. Specifically, the study investigated whether deliberate rumination influences PTG, and self-transcende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TG and gerotranscendence.
Method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stablished with data from 265 adults aged 65 years and older, who had experienced losses related to health, relationships, or bereavement.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29.0 and AMOS 29.0.
Result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among deliberate rumination, PTG, and self-transcendence. In addition, gerotranscendence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th PTG and self-transcende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the research model had a better fit than the alternative model, demonstrating that deliberate rumination influences posttraumatic growth, and that posttraumatic growth affects gerotranscendence through the mediation of self-transcendence. In the research model, individuals who engaged in higher levels of deliberate rumination experienced greater PTG, which enhanced self-transcendence, ultimately promoting gerotranscendence. Notably, the direct effect of PTG on gerotranscendence was not significant, indicating that self-transcendence ful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Conclus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psychsocial development in older adults and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research by identifying the paths among deliberate rumination, PTG, self-transcendence, and gerotranscendence in the context of loss.
목차
서 론
연구방법
결 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DECA-P2 한국어판 유아 회복탄력성 척도의 타당도 검증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강점척도 개발방향 및 구성요인 탐색
- 유아기 어머니 학력과 학령기 언어유추추론의 관계: 수용어휘와 인지적 통제의 순차적 매개효과
- 가정 내 혼란과 부부갈등이 학령 초기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아동 불안의 매개효과
- 어머니와 청소년 자녀의 스마트폰 과의존, 삶의 만족도, 자녀의 학업 무기력 간의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 어머니의 과보호적 양육태도와 초기 청소년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억제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팬덤활동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예측요인 분석
- 팬데믹을 경험한 후기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신념의 병렬 매개 효과
- 대학생의 경험․협력․탐구학습 수준 차이 분석: I대학교 IU-EXCEL 교육모델을 중심으로
- Q방법론을 활용한 보육교사 성인학습자의 대학 학습경험에 대한 인식유형 연구
- 교사소진 회복자원으로서의 마음챙김과 성장마인드셋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협력적 소통 역량 함양을 위한 블렌디드 PBL 교실 실행 연구
- 중장년층 디지털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상실을 경험한 노인들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 후 성장, 자아초월 및 노년초월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발달장애 청년 자녀를 둔 부모가 지각하는 행복 : Q 방법론적 접근
- 산재 후 니트(NEET) 집단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재활서비스 욕구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
- 주의력 부족과 인터넷 게임 중독의 관계: 인터넷 게임 동기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